혈액종양내과 병동에서 근무하면서 신규 간호사를 교육할 때 사용했던 교육 자료입니다.
내과병동에서 볼 수 있는 증상들을 기반으로 한 항생제들을 위주로 정리해 놓았으며
추후 '산소 요법'편, '항암 요법'편 등을 업로드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목차
1. Using of Pre-op antibiotics [empirical therapy]
2. Neutropenic fever
3. Urinary tract infection
4. Sugical-site infection (SSI, wound infection)
5. Sepsis
6. Pneumonia
7. 치료기간 및 경구치료로의 전환
본문내용
Fever
1. 해열제 종류
- AAP
- Aspirin, NSAIDs (brufen) : AAP 효과 + GI distrubance
- glucocorticoids
2. 해열제 사용이 권장되는 경우
- hyperpyrexia (41.5이상 고열), : physical coooling도 병용한다.
- 근육통, 오한, 두통 등 발열에 수반된 전신증상이 있을 때.
- 열성/비열성 경련 병력을 가진 임산부, 소아
3. Hyperthermia의 치료
- physical cooling : tepid massage, sponge massage
- IV fluid hydration
- pharmacologic agents
Antibiotics
‘발열=항생제 사용’이 100% 정답은 아닌 이유
=> 항생제 사용은 일반세균감염, 일부 바이러스 감염일 때 사용한다.
<중 략>
Sugical-site infection (SSI, wound infection)
1. 원인 : S.aureus, Pseudomonas, Enterococcus
2. Tx : empirical antibiotcs (가장 유력한 병원균 cover : cefazolin)
peri op (1시간 전) ~ post op day 1~2 까지 cover
Sepsis
1. 원인 : 주로 G(-) rods에 의해 발생
2. 증상 : 1.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 fever or hypothermia, chillling, tachycardia, leukocytosis or leukopnenia
2. shock-induced organ dysfunction – cardio : hpotension, myocardial depression, lactate 생성
_ respiratory : ARDS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1. 해피캠퍼스 오른쪽 상단 [내계정 > 다운가능자료]를 누르면 [구매자료] 페이지로 이동되어 자료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의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 기간은 구매일로부터 7일입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