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러시아 형식주의에 대하여
- 최초 등록일
- 2004.07.04
- 최종 저작일
- 2004.07
- 2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도움되시길 바래요..^^
목차
1. 러시아 형식주의의 문학사적 가치
2. 러시아 형식주의 이론의 성립과 역사적 발전
2-1. 러시아 형식주의 이론의 성립
1) 러시아 형식주의 이론의 두 선구자
2) 러시아 형식주의의 탄생
3. 러시아 형식주의의 내용
3-1. 초기 러시아 형식주의: 시의 음운론 연구
3-2. 러시아 형식주의의 성숙기 : 시의 음운론에서 시의 의미론으로
3-3. 혁명 그리고 러시아 형식주의의 재편성
3-4. 프라그 학파의 탄생, 그리고 러시아 형식주의에서 구조주의로
4. 러시아 형식주의의 기본 개념들
4-1. 실용적 언어와 문학적 언어
4-2. 낯설게 하기
4-3. 내러티브
4-4. 모티프(동기)/ 동기화
4-5. 기능
4-6. 지배소
4-7. 리듬
4-8. 문체
4-9. 문학 진화론
4-10. 문학 발생의 역동적 성격
4-11. 체계로서의 문학
5. 러시아 형식주의자들
5-1. 토마체프스키: 산문의 분석
5-2. 쉬클로프스키
5-3. 티니아노프
5-4. 로만 야콥슨
본문내용
1. 러시아 형식주의의 문학사적 가치
얼마전까지만 해도 한국의 우리에게 러시아 형식주의 문학이론은 무척 생소한 것이었다. 실상 구미에 있어서도 195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그것은 현대 슬라브 문학비평을 연구하는 소수의 사람들 사이에서나 알려져 있던 비평의 유파에 불과했다. 이 유파의 해묵은 저자들이 다시금 발굴·번역·소개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후반부터이다. 그러나 70년대에 들어와서는 그것이 현대의 문학 이론의 가장 중심적인 과제를 모범적으로..
2. 러시아 형식주의 이론의 성립과 역사적 발전
2-1. 러시아 형식주의 이론의 성립
1) 러시아 형식주의 이론의 두 선구자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유럽의 문학 연구를 주도하던 방법은 자연과학적 인과율을 문학 현상에서 찾아보려는 실증주의 방법이었다. 러시아 문학도 물론 예외가 아니었다. 그런데 특히 형식주의 이론 성립을 위해 크게 다행이었던 일은 19세기 말에 알렉산드로 포테브냐aleksandr potebnya(1835-1891)라는 선구적 문학이론가가 있었다는 사실이다. 그는 '시와 산문은 언어적 현상'이라는 당시로서는 상당히 진취적인...
참고 자료
이상섭, 「러시아 형식주의의 문학이론」, 문학과 지성사, 1980
레이먼 셀던, `러시아 형식주의`, 「현대문학이론」, 문학과지성사, 1987
장 이브 타디에, `러시아 형식주의자들`, 「20세기 문학비평」, 문예출판사, 1995
빅토르 어얼리치, 「러시아 형식주의」, 창작과비평사,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