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육사] 한국 교육사-조선후기 실학사상
- 최초 등록일
- 2004.07.03
- 최종 저작일
- 2004.07
- 27페이지/ MS 워드
- 가격 1,500원
소개글
조선후기 실학사상에 대해 알고 문젯점 등을 분석한 레포트 입니다. 한학기 동안 열심히 자료를 찾아 정리했고 실학사상에 대한 제 의견도 함께 정리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조선후기 실학파의 교육
2)조선 후기 개화기의 교육
3)조선후기 천주교의 교육
4)조선 후기 동학의 사상
5)근대학교
3. 결론
본문내용
18세기 이후 조선조는 한계수정적인 전통체제의 보수만으로는 도저히 해결할 수 없는 사회∙경제적 모순이 누적되었으며, 이것은 성리학의 공허와 위정자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이용후생을 표방하는 실학을 잉태시켰다. 이 같은 발생사적 의미를 지닌 실학이 면면히 이어져 19세기 말의 개화사상에 전승된 것이다. 실학사상은 이용후생과 경세치용의 연구를 통해서 자아의 자각에 따르는 민족문화에의 주체적 인식을 촉구했다. 특히 그들이 학문의 사대성을 지양하고 주체성, 객관성을 회복하려는 민족정신을 가졌음은 오늘날 우리 후학도 들에게 좋은 교훈을 시사하고 있다고 본다. 이러한 실학자들의 사상은 혁명적이라 할 수 있겠으나 당시 집권층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아 실행에 옮기지는 못했다. 이는 실학사상은 조선 시대의 지배 이데올로기였던 성리학적 사유에 대항하는 대항 이데올로기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며 집권층은 자신들의 지위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실학사상을 막았던 것이었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사회 내적인 모순 심화와 갈등 속에서 일만 민중들의 의식은 점차 향상되었으며 특히 병자호란 이후에 서학과 같이 전래된 천주교의 신 앞에서의 평등사상과 동학의 원칙이었던 반상, 노주, 적서, 남녀의 봉건적 구별과 차별을 부정하고 타파하고자 한 사상은 개화사상을 내적으로 성숙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 본다.
참고 자료
『한국 교육사 근∙현대편』 홍석, 풀빛131 한국교육 연구소, 1993
『한국 교육사 연구 (하)』 손인수, 문음사, 1998
『한국 교육사』 박재문, 학지사, 2001
『조선교육사ⅰ』이만규, 거름출판사, 1988
『율곡 사상의 체계적 이해 2 경세사상편』 황의동, 서광사, 1998
『개화기 교육과정 개발 연구』 이혜명, 교육과정연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