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행동의 심리학적 이해 A+] 심리학적 학습 원리와 인간의 사고, 인지, 기억과정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때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아이들과 젊은 세대들이 어떻게 하면 창의성을 가진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 우리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점은 무엇인지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을 제시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3.09.28
- 최종 저작일
- 2023.08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편입을 준비하고 있는 학생이라 고득점을 받기 위해 정성을 들여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제가 올린 자료들은 모두 A+를 받은 레포트 자료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창의성을 가진 인간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2. 우리 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3. 우리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에게 있어서 4차 산업혁명이라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2016년 3월에 구글에서 주최한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인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바둑대국이다. 당시에 인공지능과 사람 간의 대결로서 전 세계의 이목이 쏠렸던 경기였기에 지금도 기억이 생생하다. 이처럼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및 사물인터넷 간의 융합 등을 통해 새로운 혁신을 추구하고 있으며, 오늘날 이러한 지식 집약적 산업의 발전 속에서 창의성을 가진 인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창의성은 기존의 지식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롭고 가치 있는 결과물을 만드는 능력을 말한다. 본래의 창의성은 주로 획기성이나 독창성을 포함하는 사고의 관점에서 연구되었으나, 근래에는 인성과 다양한 지적 능력 및 주변 환경 등의 총체적인 관점에서 연구되고 있다. 이렇게 여러 방면에서 다재다능한 인재를 모든 기업에서 영입하고자 욕심내고 있으며, 우리는 이러한 인재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다음 세대들을 교육해야 할 것이다. 이어질 본론을 통해 우리 아이들과 젊은 세대들이 어떻게 하면 창의성을 가진 인간으로서 성장할 수 있을지와 우리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탐색해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에리히 프롬, 『자유로부터의 도피』, 휴머니스트, 2012.
우문식, 『긍정심리학이란 무엇인가』, 물푸레, 2017.
로베르타 골린코프 외, 『최고의 교육』, 예문아카이브, 2018.
김경희, 『미래의 교육』, 예문아카이브, 2019.
주영한국교육원(Korean Education Centre UK)
KBS <시사기획 창> ‘30살 수능, 길을 잃다’, 2023.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