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급성 신우신염에 대한 케이스 스터디 자료입니다.
간호진단은 2개 내렸으며 그에 관한 간호과정 실었습니다.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고 실현 가능한 적절한 간호수행이라며 긍정적인 반응 얻었고 A+ 받았습니다.
목차
1. 일반적 정보
2. 질병에 대한 정보
3. 사정내용
1) 질병과 관련된 특이사항
2) 활력증상
3) 체액검사
4) 심장/방사선/핵의학 검사
5) 투약
6) 간호과정(간호진단 2개)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입원동기
: 4/18일부터 발열과 빈뇨, 왼쪽 옆구리 통증 호소하여 4/19일 택시로 ER 통해 입원함
질병에 대한 정보
진단
소변 검사
농뇨, 낮은 비중과 삼투질 농도
소변배양검사
세균뇨( 소변에서 세균이 100,000/µl 이상 검출 )
신장, 요관, 방광 X선
신장결석, 종양, 낭종 등 폐색의 원인 발견 가능
혈액검사
WBC, CRP, BUN, Creatinine ↑, 크레아티닌청소율 ↓
정의
신우신염 [pyelonephritis]
신장이나 신우 등 상부 요로계가 감염된 요로감염으로 염증이 발생된 것
치료
- 안정을 취하는 것과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함.
- 약물 치료의 경우 항생제를 7~14일간 24시간 동안 일정한 혈중 농도를 유지하도록
정해진 간격으로 투여함.
- 투약이 끝난 1주 뒤 소변배양검사를 통해 소변 내 균이 없음을 확인하거나 원인균
에 적합한 항생제로 변경해 재발을 방지함.
- 증상에 따라 경구 항생제를 사용하거나 입원하여 정맥주사 항생제를 투여함.
- 급성 신우신염이 교정되지 않는다면 만성 신우신염이 될 수 있음.
- 드물게 신장 농양이 발생한다면 농양 배액술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항생제를
6주까지도 사용 가능함.
- 열과 불편감을 완화하기 위하여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나 해열제를 투여함.
예후
- 합병증으로 신장 농양 및 패혈증이 생길 수 있음.
- 반복적인 신우신염은 신장 손상을 초래할 수 있음.
- 신우신염의 불완전한 치료, 원인 질환이 미교정된 경우 재발하거나 만성 신우신염으로 진행됨.
- 치료를 소홀히 진행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음.
참고자료
· 황옥남, 유양숙 등,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2022)
· 이은희 등,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2019)
· 박은영 등,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2019)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