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학기 아주대학교 토질역학실험 흙의 최대최소건조단위중량 결과보고서 (a+ 자료)
- 최초 등록일
- 2023.09.26
- 최종 저작일
- 2023.01
- 2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23-1학기 토질역학실험 총 점수 90점 중 89점으로 전체 1등조 결과보고서입니다.
실험 전, 혹은 결과보고서 작성 전에 참고하여 활용한다면 좋은 데이터, 결과값을 얻으실 수 있을겁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이론
3. 실험방법
4. 실험결과
5. 결론 및 고찰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실험목적
사질 지반의 역학적 특성은 입자의 촘촘한 정도, 즉 상대밀도에 따라 달라지며, 이를 위해 지반이 나타낼 수 있는 가장 느슨한 상태와 촘촘한 상태를 재현할 수 있다. 이번 최대 최소 건조단위중량 시험을 통해 가장 느슨한 상태와 가장 촘촘한 상태의 건조 단위중량을 구하여 지반 상태의 상대밀도를 구하는 데에 적용한다.
2. 실험이론
(1) 조립토의 구조
1) 단립구조
- 크기가 다른 입자들이 구조골격을 이루지 않고 단순하게 쌓여있는 상태
- 역학적 거동은 주로 입자의 형상과 접촉상태 및 마찰에 의해 결정됨
- 입자 간 접촉면적이 매우 작기 때문에 마찰력만 작용한다고 가정할 수 있음
- 입자의 형상과 배열상태, 입도분포, 상대밀도에 따라 강도와 압축특성이 결정됨
2) 벌집구조
- 흙 입자가 느슨하게 퇴적된 상태를 이야기하며, 입자크기보다 큰 공극이 형성됨
- 미소한 외부 충격에도 구조골격이 흐트러지고 압축되기 쉽기 때문에 매우 불안정하며, 현장 건조단위중량이 매우 작기 때문에 확인하기 용이함
- 실트 크기 입자가 바람 등에 운반되어 고요하게 퇴적된 흙에서도 벌집구조가 나타날 수 있음
3) 접착구조
- 지하수에 포함된 석회나 각종 염류가 흙의 간극을 통해 흐르면서 접촉부에 침전될 때 발생하는 구조골격
- 전단강도가 매우 크며 투수계수가 매우 작음
- 석회암지대에 퇴적된 모래나 자갈에서 쉽게 볼 수 있음
(2) 세립토의 구조
1) 이산구조
- 대체로 담수에서 퇴적되어 형성된 세립지반에서 나타나는 구조
- 서로 평행한 구조를 가지며, 물을 흡수하면 쉽게 팽창되는 특징이 있음
2) 면모구조
- 이온이 풍부한 바닷물에서 퇴적되는 세립토에서 나타나는 구조
- 양전하를 띤 입자 끝과 음전하를 띤 다른 입자 면이 결합하여 입자들이 뭉쳐 있거나 접촉되어있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생긴 구조 (비염기성 면모구조)
참고 자료
이상덕, 「토질역학 제 5판」, 씨아이알, 2014, p.47(흙 입자 표준형상), 50~51(흙의 공학적 성질에 따른 분류)
“Application of Dynamic Compaction For Finished Landfill”, (2009), Korean Geotechnical Society, Pages.1472-1477
“Application of FRP in Construction”, (2000),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한국콘크리트학회, 12(6), pp. 37–43. doi: 10.22636/MKCI.2000.12.6.37.
이창희. "연약지반에 설치된 지오그리드 보강 쇄석말뚝의 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