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최인훈의 광장을 읽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최인훈의 「광장」은 분단된 대한민국의 역사와 이데올로기적 대립을 다룬 작품이다. 이는 주인공 이명준의 회상을 통해 전개되며, 그 당시의 역사적 상황과 사회적 이념,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고 있다.
우리는 유일하게 분단된 땅 위에서 삶을 이어가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광장」은 남북한의 이데올로기를 동시에 비판하며, 광장이라는 상징을 통해 두 국가의 부조리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광장」에는 두 개의 광장이 존재한다. 하나는 자유당 정권의 부조리와 왜곡된 서구 자유의 물결에 휩쓸려 밀실만이 존재하는 남한의 부조리한 광장. 다른 하나는 퇴색한 혁명의 화석만이 존재하는 밀실은 인정되지 않고 허위만이 가득 찬 북한의 광장이다. 이명준은 이 두 광장 어디에서도 진실을 찾지 못하고 결국 제3국으로 떠난다.
하지만 이명준의 이러한 선택은 죽음으로 이어지며, 이는 그가 개인주의적이고 관념적인 지식인의 한계에 직면했기 때문뿐만 아니라 조국의 문제에 대한 해결 의지가 없었기 때문이다. 즉, 그의 선택은 남과 북 사이의 문제를 단순히 개인의 선택으로만 간주한 결과인 것이다.
또한, 이 작품에서 주목해야 하는 것은 남북 분단의 문제를 다루면서도 그것을 상징적인 광장과 밀실의 대립을 통해 인간의 보편적인 존재 문제와 연결한다는 점이다.
참고자료
· 문흥술. "최인훈 『광장』에 나타난 욕망의 특질과 그 의의." 상허학보 12.- (2004): 343-374.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