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동일본 대지진을 통한 재난간호 대처방안
졸업좀시켜줘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 동일본 대지진을 통한 재난간호 대처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Ⅰ. 서론1. 재난의 정의
2. 지진의 정의와 심각성
3. 주제 선정이유
Ⅱ. 본론
1. 동일본 대지진에 관한 분석
1) 동일본 대지진 발생 및 피해 현황
2) 동일본 대지진에 관한 재난관리 체계
3) 일본의 재난대처에 관한 문제점과 한계
2. 국내 지진대처방안과 그에 관한 나의 평가
1) 국내 지진 발생 현황
2) 국내 지진대처방안
3) 국내 지진대처방안에 관한 평가
3. 국내 지진 발생 시 활용할 수 있는 독창적 대처방안
1) 4차 혁명 기술을 활용한 재난 예방
2) 신기술을 이용한 지진 현장 구조 및 피해자 지원
Ⅲ. 결론 및 느낀 점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재난의 정의재난은 국민의 생명, 신체, 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 혹은 외부의 도움이 필요한 갑작스러운 생태적 현상으로 정의되며 발생 원인에 따라 자연 재난, 사회재난으로 나눌 수 있으며, 발생 소요 시간에 따라 긴급형, 응급형, 장기형으로 발생지역에 따라 도시형, 지방형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로 인하여 세계 각지에 종례에 찾아볼 수 없는 자연재해와 도시화, 산업화로 인한 사회재난의 소식을 접할 수 있다. 재난은 지역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통합적이면서 다양한 중재를 요구하고 이 과정에서 외부 지원이 필요하게 된다. 재난은 해당 지역에 경제적 손실, 재난 피해자들의 재산적 손실, 신체적, 심리적 외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재난 후유증으로 인한 국가 및 지역사회에 장기적인 악영향이 미칠 수 있는 사안이라 할 수 있다.
2. 지진의 정의와 심각성
지진(Earthquake)이란 지구 내부구조에서 가장 바깥에 있는 암석층인 지각(평균 두께 35km) 에서 오랫동안 축적된 에너지가 급격한 지각변동으로 순식간에 방출되어 파동을 일으켜 지표면에 전달되면서 땅을 흔들고, 갈라지게 하는 현상이다.
진원(hyper center)은 지구 내부에서 지진파가 최초로 발생하는 지점을 이르고, 진앙(epicenter)은 진원에서 수직으로 지표면과 만나는 지점을 말한다. 지진의 발생 요인에는 구조지진, 화산지진, 함몰지진, 인공지진으로 나누며, 이중 구조지진은 지구 내부에서 내핵과 외핵의 외부에 있는 맨틀 위의 암석층이 판으로 나뉘어 이동할 때, 하나의 판이 다른 판의 아래로 들어가거나 멀어져 반대로 이동할 때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 암석의 변형을 일으켜 한계를 넘어 힘이 풀리면서 발생하는 지진을 말한다.
지진의 크기와 강도를 나타낼 때 규모와 진도를 사용하는데 규모는 지진계에 나타나는 지진파의 진폭을 사용한 값으로, 진원에서 발생한 에너지의 총량이다. 거리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참고 자료
김옥숙 서부덕 김복랑 안혜정 변혜선 신경미 외 공저. (2018). 응급 및 재해간호. 수문사.심문숙, 양숙자, 차남현, 최인희, 박선욱, 임미림, 도은영, 안지숙, 안옥희, 김희걸 외 공저. (2022). 지역사회간호학2. 현문사.
양원직, 허대욱. (2016). 한반도 지진에 대한 원인 및 대처방안.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9(2), 9-13.
이동훈, 김지윤, 강현숙, 이혜림. (2016). 일본의 재난관리체계 및 재난심리지원체계 고찰과 시사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7), 74-90.
이영롱. (2016.04.29.). 지진이 일본을 이기지 못한 이유 - 일본 기상청, 방재센터 직접 다녀온 정책기자의 재난 대응 현장체험기. 대한민국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news/reporterView.do?newsId=148813139#goList
최성열, 엄광호. (2016). 일본 동일본대지진에 대한 국가지원체계 분석. 방재저널, 18(3), 41-49.
행정안전부. (2022). 미리 대비하고 알아두는 지진이야기-지진 국민행동요령. 지진방재관리과.
고진규. (2011.11.10.). 정책정보 - 국토해양분야 지진대책. 국토해양부. http://www.molit.go.kr/USR/policyData/m_34681/dtl.jsp?id=212.
국가재난안전포털. https://www.safekorea.go.kr/idsiSFK/neo/sfk/cs/contents/prevent/prevent09.html?menuSeq=126
기상청. 국내지진 발생추이. https://devweather.kma.go.kr/weather/earthquake_volcano/domestictrend.jsp.
김지혜. (2023.03.24.). 뉴스레터 점선면 – 후쿠시마 오염수 왜 못 막는 걸까?.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2303240700001.
김창원. (2012.03.09.). [동일본 대지진 1년]<7>日, 다시 일어설 수 있을까.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120308/44630119/1.
대한민국정책브리핑. (2016.12.19.). 정부, 지진방재 종합대책 발표 - 2020년까지 지진대응체계 완비, 2030년까지 지진방재 종합인프라 구축. 국민안전처.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174119.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GYH20160310000800044
일 문부과학성. (2012). 심층분석 : 日 과학백서, 동일본 대지진 정책과제 제시. https://now.k2base.re.kr/portal/issue/ovseaIssued/view.do?poliIsueId=ISUE_000000000000599&menuNo=200&pageIndex=21.
지진방재정책과. (2018.05.24.). 정부, 지진방재 개선대책 발표. 행정안전부. https://www.mois.go.kr/frt/bbs/type010/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8&nttId=63705.
통계청.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6&tblId=DT_106N_03_0200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