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뉴스의 본질
1. '우리 머리 속의 그림'을 '구성'해내는 '뉴스'
2. "뉴스 -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
3. "뉴스 - 현실을 사회적으로 구성"
4. 사례 분석 - 한국 사회에서의 뉴스
Ⅲ. 맺으며
본문내용
지금까지 영화 <라쇼몽>이 제시하는 커뮤니케이션학적 메시지를 바탕으로 한 '뉴스의 현실반영론'에 대한 의문을 시작으로, 뉴스는 실제 세계가 있는 그대로 반영된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이며, 또한 뉴스가 현실을 사회적으로 구성하기도 한다는 주장을 여러 학자들의 논의와 한국사회에서의 실제적 사례를 바탕으로 펼쳐왔다.세상이 복잡해짐에 따라 실제의 사건이나 정보를 있는 그대로 보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 되었다. 주어진 시간과 지면의 한계 안에서 일정한 틀(규칙)에 맞추어 사건과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사건은 어떠한 식으로든 '선택'되어야 하고, 선택된 사건이나 정보는 또 어떤 식으로든 편집되고 가공되어 '뉴스'로서 대중에게 전달되어야 한다. 결국 '선택'과 '편집'의 과정에서 여러 가지 요인들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중들이 접하게 되는 뉴스는 바깥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바깥 세상에서 발생한 사건을 담은 하나의 '만들어진 이야기'가 되는 것이다. 또한 그렇게 만들어진 뉴스는 동시에 '미디어 프레임'의 작동을 통해 현실을 사회적으로 구성하기까지 한다. 결국, 뉴스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이며, 그것은 '바깥 세계'에 대한 '우리 머리 속의 그림'을 틀(frame) 짓는다.
참고자료
· 손석춘, 신문읽기의 혁명, 개마고원, 1997.
· 양승목, "언론과 여론 : 구성주의적 접근", 언론과 사회, 1997 가을호.
· 유세경(편), 매스미디어와 현대정치, 나남, 1996.
· Curran & Gurevitch , 현대언론과 사회(김지운 외 역), 나남, 1993.
· Tuchman, Gay, 메이킹 뉴스(박흥수 역), 나남, 1995.
· Shoemaker & Reese, 매스미디어 사회학(김원용 역), 나남, 1996.
· Lippman, Walter, "The World Outside and the pictures in Our Heads", Public Opinion, 1922, chapter 1.
· 구로자와 아키라 감독, 영화 <라쇼몽>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