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5일은 한가위이자 가장 풍성하고 풍족한 명절이다. 농사의 결실을 맺게 되는 축복 의 시간에 모든 가족이 모여 추수의 기쁨을 만끽하지만 작중 화자는 그렇지 못하다. 함께 해야 할 님의 부재로 인해 자신의 시간은 풍족한 것이 아니라 초라한 시간이 되어 버린 것이다. 이는 임에 대한 깊은 연모에서 비롯된 것이다. (연모)
九月 九日애 구월 구일에
아으 藥이라 먹논 아아, 약이라고 먹는
黃花고지 안해 드니 국화 꽃이 집안에 드니
새셔 가만얘라 그 향기가 새 나와 은근히 풍기는 구나.
아으 動動다리
⇒9월 9일은 국화를 따서 술에 타고 떡에 넣어 화전을 만들어 먹는다. 향기가 있어 좋을 뿐만 아니라 약이 되어 몸을 보호하고 액을 물리친다고 한다. 계절로 보면 또 한 해가 저 물어가기 시작한다. 따라서 긴 겨울 동안 심리적으로 쓸쓸하고 고독하게 지내야 할 자신 의 처지를 생각하여 흐르는 세월을 한탄한 것이라 본다. (적요)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