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동동 연구
- 최초 등록일
- 2004.06.21
- 최종 저작일
- 2004.06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원문
2. 어구풀이
3. 작품 내용풀이
4. 작품의 총체적 파악
(논의의 쟁점에 따른 연구사)
Ⅲ. 결론
본문내용
八月ㅅ 보로 팔월 보름은
아으 嘉俳나리마 아아, 가윗날이지마는
니믈 뫼셔 녀곤 님을 모시고 지내야만
오낤 嘉俳샷다 오늘이 가윗날입니다
아으 動動다리
⇒8월 15일은 한가위이자 가장 풍성하고 풍족한 명절이다. 농사의 결실을 맺게 되는 축복 의 시간에 모든 가족이 모여 추수의 기쁨을 만끽하지만 작중 화자는 그렇지 못하다. 함께 해야 할 님의 부재로 인해 자신의 시간은 풍족한 것이 아니라 초라한 시간이 되어 버린 것이다. 이는 임에 대한 깊은 연모에서 비롯된 것이다. (연모)
九月 九日애 구월 구일에
아으 藥이라 먹논 아아, 약이라고 먹는
黃花고지 안해 드니 국화 꽃이 집안에 드니
새셔 가만얘라 그 향기가 새 나와 은근히 풍기는 구나.
아으 動動다리
⇒9월 9일은 국화를 따서 술에 타고 떡에 넣어 화전을 만들어 먹는다. 향기가 있어 좋을 뿐만 아니라 약이 되어 몸을 보호하고 액을 물리친다고 한다. 계절로 보면 또 한 해가 저 물어가기 시작한다. 따라서 긴 겨울 동안 심리적으로 쓸쓸하고 고독하게 지내야 할 자신 의 처지를 생각하여 흐르는 세월을 한탄한 것이라 본다. (적요)
참고 자료
◉ 참고 문헌 ◉
이명휘, “고려속요 ‘동동’ 연구”, 관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허남춘, 「고려가요 연구의 현황과 전망」, 집문당, 1996
양태순, 「고려가요의 음악적 연구」, 이회문화사, 1997
최규원, “여요의 현실극복 의지”,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1998
한종필, “고려속요에 나타난 시간의식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최미정, 「고려속요의 전승 연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1999
김완진, 「향가와 고려가요」,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강명혜, 「고려속요․사설시조의 새로운 이해」, (주)북스힐, 2002
김정성, 「고려가요」, 조선대학교 출판부, 2002
최철․박재민, 「석주 고려가요」, 이회문화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