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본론
1. 2018 유아교육특집 놀이의 발견 영상 요약
2. 유아교육 현장에서 놀이지원을 위한 교사의 역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유아는 놀이를 통해 다양한 것을 배운다. 놀이의 주체가 누구인지에 따라 유아가 배우는 내용과 유아의 생각, 성격 등 모든 것이 변화될 수 있다. 유아교육 특집 놀이의 발견 영상을 통해 유아교육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고 2019년 개정된 누리과정과 연계하여 현장에서 놀이 지원을 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2018 유아교육특집 놀이의 발견 영상 요약
시간표가 없는 유치원에서는 여름에 속옷만 입고 놀이터에서 물놀이를 하고, 산에서 주워온 나무조각으로 무언가를 만들고, 스스로 떡을 만들어보는 활동을 한다. 다른 유치원처럼 수업을 받지 않고 하고 싶은 놀이를 하고 있다. 아이들의 하원 후 교사들은 아이들 개인의 일지를 기록하고 회의를 하여 아이들이 놀이에 집중할 수 있는 방법과 환경을 고민한다. 시간표는 아이들의 마음속에 존재하며 아이들이 좋아하는 놀이는 더 집중하여 할 수 있다. 놀이란 부모님 주도에 의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 긍정적인 경험을 하도록 놀 수 있게 하고 부모님은 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과 도움을 주어야 한다. 놀이터의 애벌레를 관찰하던 은후의 경우 오랫동안 관찰하고 스스로 탐구해서 알아낸 지식을 가지고 있기에 책으로 지식을 얻은 것과는 다르다.
참고자료
· 배움 사이버평생교육원, 놀이지도 강의 교안, 2022년
·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현장지원자료(고시문, 해설서), 2019년
·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현장지원자료(놀이이해, 놀이실행자료), 2019년
· KBS, 2018 유아교육특집 놀이의 발견, 2018년
· 행복한 교육, 문복진, 유아 눈높이에서 ‘놀이’로 배우는 즐거움 「2019 개정 누리과정」,
· http://happyedu.moe.go.kr/happy/bbs/selectHappyArticle.do?nttId=9379&bbsId=BBSMSTR_000000005083, 2019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