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목적 : 실험을 할 때에 가장 기초적인 측정기구인 저울과 유리기구에 대해 각각 명칭과 사용벙을 학습하고 유리기구가 갖고 있는 불확실성에 대해 이해하고 데이터 처리 및 불확실도 추정 방법을 학습한다.
3. 결과 및 토의:
1. 측정 할 때 공통으로 적용 한 것
1) 비커 무게 : 35.64g
2) 수온 : 24℃
3) 증류수 밀도 : 0.99733
2. 공통으로 사용한 식
1) 불확실도(표준편차)
* = 표준편차(불확실도)÷N= 실험 총 횟수 ÷ = 액체무게(증류수 무게)
= 평균무게
2) = 평균=
3) 기댓값(신뢰한계) : ÷t : 인자= 4.30(95%의 t)
4) 실제로 옮긴 증류수의 부피 = 평균 무게÷증류수의 밀도
5) 실제로 옮긴 증류수의 불확실도=무게의 불확실도÷증류수의 밀도
<중 략>
<토의>
이 실험은 유리기구들을 통해 증류수를 옮길 때 생기는 불확실도를 알아보는 실험이다.
실험을 하여 결과를 도출 해본 결과 피펫 → 뷰렛 → 메스실린더 순으로 불확실도가 커진다.
메스실린더가 가장 큰 이유는 증류수를 메스실린더에 넣을 때에 벽면에 맺히는 증류수가 있어 정확한 양을 재기가 어려웠고 또한 메스실린더에서 비커로 옮길 때에도 벽면과 끝에 맺힌 증류수들이 존재하여 옮기기 힘들기 때문이다. 즉 다른 기구들에 비해 맺힌 증류수들이 많아 옮겨지는 양이 적어진다.
메스 실린더와 다르게 피펫은 고무필러라는 도구를 사용해 압을 사용해서 증류수를 배출했기 때문에 남은 증류수들도 배출 할 수 있었고 그렇기 때문에 메스실린더보다 상대적으로 옮기는 양이 많았다. 그리고 배출하는 양을 섬세하게 조절하기는 어려웠지만 다시 증류수를 넣는 방법이 뷰렛보다 상대적으로 시간이 짧아 다시 증류수를 여러번 눈금에 맞출 수 있었고 그로 인해 상대적으로 불확실도가 더 작게 나왔던 것 같다.
뷰렛은 달려있는 콕이 증류수가 나오는 속도를 조절하게 되어있어 실험자가 원하는 만큼의 증류수를 다른 기구들보다 섬세하게 조절 할 수 있었기 때문에 다른 기구들보다 더 정확한 측정이 가능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