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필요성
목은 신경이 많이 분포해 있는 민감한 부위이다. 의료 기술이 많이 발전한 현재에도 갑상선절제술 후에는 여러 가지 합병증이 발생하고 있다. 여러 가지 합병증 중에서도 대상자가 가장 많이 질문하는 것 중의 하나는 수술 후에 목소리 변화에 대한 것이다. 목소리 변화에 대한 환자의 관심은 매우 높지만 고음 발성이 힘든 상후두신경의 외측 분지 손상에 대한 효과적인 수술적 치료법은 현재로서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수술 중 상후두신경 손상에 대해 더욱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상후두신경의 외측 분지가 매우 가늘고 작아 수술 시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 힘들며 갑상선암이나 결절이 큰 경우에는 손상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 또한 수술 후 음성은 정상이지만, 다양한 형태의 목 불편감을 호소하기도 한다. 후두 내시경 검사상 특별한 이상이 없는 경우에도 목 불편감과 같이 연하 불편감, 목 이물감 등 다양한 증상을 호소할 수 있는데 이러한 증상을 “갑상선수술 후 증후군”이라 부른다. 대상자에 따라 수개월 후에 증상이 없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수년 동안 계속하여 목 불편감을 호소하기도 한다. 이와 더불어 최근 갑상선 결절과 암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므로 갑상선질환과 갑상선절제술에 대한 더 알아보고자 이 사례를 선정하였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2022년 8월 9일 지샘병원 수술실에서의 갑상선절제술을 관찰한 것을 기반으로 전반적인 수술 방법과 절차에 대해 파악하였고 EMR 상의 자료들과 회복실에서의 대상자 관찰을 바탕으로 하였다. 또한 문헌고찰을 통해 갑상선종에 대한 일반적인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술실에서의 실습 중 갑상선절제술을 가장 가까이서 보았으며 이러한 것을 토대로 갑상선종과 갑상선절제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1) 갑상선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이해한다.
(2) 갑상선종의 병태생리와 증상을 이해하고 간호 및 수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갑상선 절제술의 수술 방법과 과정에 대해 파악한다.
참고자료
· 그림 1. 담소유병원 (유방갑상선클리닉)
· 그림 2. 대한의학회
· 그림 3. 유양숙 외.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 그림 4. 서울아산병원
· 그림 5. GC 녹십자 헬스케어
· 그림 6. 땡큐서울이비인후과 (내분비내과)
· 박금주 외.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 이충재 외. 알기 쉬운 임상약리학. 고문사.
· 유양숙 외.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 윤혜상 외. 최신 수술실 매뉴얼. 포널스.
· 최명애 외. 보건의료인을 위한 병태생리학. 계축문화사.
· 갑상선 닥터 글랜디 https://blog.naver.com/thyroscope
· 대한갑상선학회 https://www.thyroid.kr/
·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 경향신문. (2017). 갑상선 반절제술과 전절세술의 차이 https://www.khan.co.kr/life/health/article/201706011050002
· 항암등대. (2021). 갑상선암 수술, 전절제와 반절제 장단점, 목소리는? https://cancerstory.co.kr/bbs/board.php?bo_table=webzin&wr_id=263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