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치 문화가 반영된 숏폼 콘텐츠 분석
- 최초 등록일
- 2023.08.19
- 최종 저작일
- 2023.05
- 9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목차
1. 서론
2. 대중문화와 키치
3. 숏폼 콘텐츠와 키치
1) 부적절성
2) 중층성
3) 차용성
4) 현실 도피성
5) 유희성
6) 통속성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예술 분야에서 저속한 문화라고 부정적으로 사용되던 키치는 이제 힙하고 무언가 재미있는 분야를 가치키는 용어가 되었다. 현대 대중들은 키치를 무시하지 않고 오히려 향유하면서 직접 키치를 생산하는 데 참여하고 있다. 우스꽝스러운 말춤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장소를 배경으로 한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전 세계를 강타한 것을 보면 키치가 전 세계적인 현상임을 예측할 수 있다. 한국에만 국한되어 있던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전 세계에 알려질 수 있었던 이유는 디지털 미디어인 유투브 덕분이었다. 유투브, 인스타그램, 틱톡 등과 같은 동영상 플랫폼은 현대 시대에 키치 문화를 전 세계에 전파하고 소외문화가 아닌 주류 문화로 거듭나는 데 유의한 역할을 했다.
그 동안 키치 문화가 부정적으로 평가를 받아왔던 것은 고급 문화와 다르게 완성도와 짜임새가 떨어지기 때문이었다. 키치 문화는 일반 대중들을 중심으로 향유되던 문화이며 저질스럽고 찌찔한 내용을 소재로 하고 있었다. 이런 소재들을 더욱 열악하게 만든 것은 문화를 향유하기 위해 제작하는 매체에 대한 접근도가 낮았기 때문이다. 전통 시대에 고급문화가 잘 정돈된 캔버스지나 오페라 대극장에서 향유되었다면 일반 대중들에게는 낡은 종이나 시장바닥밖에 없었다. 하지만 스마트폰이 보급되고 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서 대중들의 문화가 향유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대표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키치 문화는 숏폼 콘텐츠이다. 숏폼 콘텐츠는 15~30초의 짧은 영상으로 제작되며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서 향유된다. 숏폼의 기본적인 특징은 키치가 가지고 있는 유희성이다. 또한 밈이나 챌린지 형태로 제작되면서 일반인에 의해서 재생산된다. 숏폼 콘텐츠를 통해서 키치 문화가 점차 파급되고 주류문화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중문화로서 숏폼의 가치와 키치 문화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다. 이미 이 두 문화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주류 문화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참고 자료
감선주(2019). GUCCI 브랜드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노스탤지어적 키치 특성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 22(2), pp. 119-129.
신순범(2003). 국내 인기 온라인 캐릭터에서 표출되는 키치적 특성 연구, 일러스트레이션학연구, 13(1), pp. 47-58.
신현진(2019). 예술의 사회적 의미구성과 의식 활동 : 칸트, 푸코, 정동이론, 신경미학, 사회적 체계이론 비교. 미학예술학연구, 59, pp. 199-228.
아브라함 몰르, 엄광현 옮김(1955). 키치란 무엇인가? 시각과 언어.
오창섭(2002). 디자인과 키치. 시지락. p. 33.
Clement, Greenberg(1987). 아방가르드와 키치, 현대미술비평30선, 중앙일보사.
이현석(2013). 싸이의 영상 뮤직비디오 ‘강남스타일’ 에 드러난 키치(Kitsch)와 밈(Meme)에 대한 탐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1), pp. 148-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