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개론
주제: 한국 건국신화 중 하나를 골라 특징을 정리하고 한국어 교실에서의 활용 방안을 논하라.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고구려 건국신화의 특징
2. 고구려 건국신화의 활용
2-1. 드라마 <주몽>을 활용하여
2-2 만화 <바람의나라>를 활용하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신화가 있다. 이 신화에는 여러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의 필자는 여러 신화 가운데에 가장 재미있는 신화를 선정하여 한국어를 가르치는 데에 활용해보고자 한다.
신화의 내용으로 가져올 수 있는 것은 고구려의 건국신화인 ‘주몽 신화’라고 할 수 있다. 주몽 신화의 경우에는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비유적 표현이 많이 들어가 있고 내용상의 드라마적 요소가 많으며 한국에서 다양한 드라마로 제작되었거나 콘텐츠로 소비된 경험이 있어 외국인들이 접하기에도 사뭇 좋을 수 있다는 특징을 이야기할 수 있다. 이에따라 주몽신화를 토대로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Ⅱ. 본론
주몽신화. 한국 사람이라면 모두 다 알 법한 고구려의 건국신화라고 할 수 있다. 등장요소로는 하백의 딸 ‘유화’, 천신의 아들 ‘해모수’, 금와왕, 주몽, 금와왕의 다른 자식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색을 가진 것은 우리가 ‘강의 신’과 ‘하늘 신’의 도움을 받는 자손이라는 점이고 또 건국신화와 같은 것을 만들 수 있었던 것은 건국의 당위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우리 민족의 정서를 깨치게 할 수 있다.
참고자료
· 임기환, <해모수와 해부루 - 고구려 건국신화 다시 읽기 (3)>, 매경프리미엄, 2022-05-12https://www.mk.co.kr/premium/special-report/view/2022/05/31917/
· 플랫팀, <불사조 만화 ‘바람의 나라’를 30년 간 그려온 김진 작가>, 경향신문, 2021-04-14https://www.khan.co.kr/culture/culture-general/article/202104141504001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