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뇨병 산모의 신생아(Infants of diabetic mothers, IDMs) >
- 모체의 당뇨병 중증도는 임신 전 당뇨병을 앓는 기간, 당뇨 발병 나이, 혈관 합병증 정도, 현 임신 중의 신우신염, 당뇨성 케톤증, PIH, 불순응 등과 같은 질벼으이 유무 등에 따라 좌우된다.
1. 신생아에게 미치는 영향
① 태아의 성장 양상: 모체 혈당이 130mg/dL이상인 경우 거대아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거대아가 아니더라도 특히 32주 이후에 정상 임신부의 태아에 비해 복부둘레가 큰 차이를 보이며 전반적으로 체중이 큰 양상을 보인다. 거대아 발생여부는 주로 임신초기 혈당조절에 의해 결정된다.
② 호흡곤란증: 당뇨병 자체에 의한 것보다 이른 임신주수에 조기분만으로인한 태아의 폐 성숙 지연으로 인한 경우가 흔하다.
③ 저혈당: 25-40%의 신생아에서 분만 직후에 혈당의 급격한 저하로 저혈당이 초래되며, 이는 만성적인 모체의 고혈당에 의해 태아의 소도세포가 과증식이 일어나서 발생하며 조기발견으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
- 신생아 저혈당은 만삭분만인 경우에 혈당이 35 mg/dL 이하, 조산인 경우에 25 mg/dL 이하로 떨어진 경우이다.
- 신생아 저혈당증은 보통 증상이 없으나 창백, 무호흡, 떨림 또는 청색증이 간혹 나타난다. 특히 저체중아에서 저혈당증이 나타나게 되면 신경학적 후유증과 발달 장애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④ 저칼슘혈증: 당뇨병 임신부에서 태어난 신생아의 주요 대사장애이며 원인은 불분명하다.
⑤ 심근비대: 비후성 심근증이 발생하며 드물게 심부전이 초래되기도 한다.
⑥ 당뇨병의 유전경항: 당뇨병 임신부에서 태어난 자손에서 1형 당뇨가 발생할 확률은 1-3%이다.
⑦ 인지기능: 장기적으로 인지기능 발달에는 영향이 없다.
★⑧ 신생아 황달
황달은 모든 신생아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지만, 임산부의 혈당조절이 안되었을 때 더 많이 생긴다. 신생아 황달은 조기분만과 태아 저산소증으로 인한 적혈구 과다증이 원인이다. 대부분의 황달 치료는 며칠 안에 끝나며, 만약 심한 황달 상태라면 신생아는 빌리루빈은 낮추기 위해 광선 치료를 받아야 한다.
참고자료
· 손주현 외, 임신과 B형간염,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2011
·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 신생아 진료지침 제 3판, 대한신생아학회
· 약학정보원 약물정보
· 송안숙, 지지간호가 퇴원 후 미숙아 어머니의 불안, 아기 돌보기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2005
· 임지영, 지지 간호와 정보 제공이 미숙아어머니의 스트레스 인지와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6
· 조유숙, 추후관리 프로토콜 개발 및 전화 상담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편도선 절제술 환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 아동간호학 Ⅱ/ 오진아 외 7인 / 신광출판사 / 『제8장. 고위험신생아 간호 -2. 고위험신생아 간호』/ P.55
· 신생아중환아 간호 임상가이드. 박민향. 가나북스 2013
· 신생아 간호. 김미애 외. 군자출판사. 2011
· 서울백병원 질병정보
·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 이상락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신생아 황달,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49, no. 1, 2006
· 신정숙B 외, 신생아 황달의 광선요법 투여시간과 빌리루빈 하강정도와의 관계, 임상간호연구지, Vol.1 No.-, 1993
· 이자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신생아 황달의 광선 요법 투여시간에 따른 혈청 빌리루빈 하강 효과, 모자간호학회지 제 3권 제 2호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