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정신건강론
주제: 정신건강증진센터의 주요 사업에 대하여 논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중요성
2. 정신건강증진센터의 주요 사업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신건강복지센터는 정신보건센터에서 시작하여 정신건강증진센터 그리고 2017년부터 정신건강복지센터로 명칭이 바뀌었다. 명칭을 정신건강복지센터로 변경하여, 그 기능을 강화하고 더욱 전문적인 정신건강정책 추진을 위하여 ‘국립정신건강연구기관’의 설립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정신건강복지센터는 국가 혹은 지방자치단체가 설치 가능한데, 직영형은 시.도지사가 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를 설치하며 운영하고, 시군구청장은 보건소에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를 설치 운영한다. 위탁형은 정신건강복지법 시행령 제10조에 따라서 정신건강복지센터 운영의 전부 혹은 일부를 정신건강증진사업을 실시한 경험이 있으며, 정신건강 관련 전문적인 인력등을 갖춘 정신건강증진시설 혹은 고등교육법제2조에 따른 학교로서 정신건강 관련 학과가 설치가 되어있는 학교에 위탁을 하여 운영을 할 수 있다.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사업목적은 첫번째, 지역 내 파악된 만성 정신장애인 및 대상 인구에 대한 포괄적이고도 지속적인 정신 보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계체계를 확립한다.
참고자료
· 이양훈(2007), 지역사회복지론, 창지사
· 국립정신건강센터(2016), 정신건강증진센터 운영실태 분석 및 발전 방안 연구
· 국립정신건강센터 www.ncmh.go.kr
· 안산시 정신건강증진센터 www.ansanmind.or.kr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