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선 회절법을 이용한 강유전체 BaTiO3의 구조 분석과 시차 주사 열량계를 이용한 상전이 온도 측정 (결과)
- 최초 등록일
- 2023.08.04
- 최종 저작일
- 2021.06
- 4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신소재공정실험 A+입니다.
목차
1. 실험 결과 및 토의
2. 결론
1) 강유전체 BaTiO3 합성
2) XRD를 통한 BaTiO3 구조 분석
3) DSC 결과 및 분석
4) 추가 논의
3. 참고 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1) 강유전체 BaTiO3 합성
BaTiO3의 합성 반응식은 BaCO3 + TiO2 → BaTiO3 + CO2↑으로, BaTiO3 1g을 합성하기 위해 BaCO3는(197.34)/(233.19)=0.8463g, TiO2는 (79.87)/(233.19)=0.3425g 필요하며 CO2는 (44.01)/(233.19)=0.189g 생성된다. 이는 고상인 BaCO3과 TiO2를 기계적으로 혼합하고 고온에서 고상확산 반응시켜 BaTiO3 분말을 제조하는 고상 합성법을 이용한 것이다. 혼합하는 과정에서 불 균일하게 진행되거나 반응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Ba2TiO4나 BaTi3O7 등의 중간상이 잔류하므로 막자사발을 이용하여 오랜시간동안 갈아주어야 한다.
(2) XRD를 통한 BaTiO3 분석
ㄱ. JCPDS 카드와 XRD를 통한 합성물의 순도와 구조 분석
참고 자료
Ahn, Heeju, Eunjeong Lee, Yujin Cho, Dongyeon Bae, Hee J. Park, Jayoon Yang, Jiung Cho, and Suyeon Cho. 2021. "Ferroelectric Transition in Sr- and W-Doped BaTiO3 Solid Solutions" Applied Sciences 11, no. 15: 6760
William D. Callister, (2016) Fundamentals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5th edition, Wiley, pp.63-70, 94-99,545-546.
Douglas A. Skoog, F. James Holler, Stanley R. Crouch (2016) Principles of Instrumental Analysis, 7th edition, Cengage Learning, pp.279-280.
Cameron F.Holder, Raymond E. Schaak. 2019. “Tutorial on Powder X-ray Diffraction for Characterizing Nanoscale Materials” ACS Nano 13, no.7: 7359-7365
Pasuk I, Neațu F, Neațu Ș, Florea M, Istrate CM, Pintilie I, Pintilie L. “Structural Details of BaTiO3 NanoPowders Deduced from the Anisotropic XRD Peak Broadening”. Nanomaterials. 2021; 11(5):1121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제33권 제6호 pp. 483-489, 2020년 11월: 김용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