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 산업보건 레포트입니다. A+ 받았습니다.목차
1. 작업 환경에서의 수년간 소음 노출로 인해 발생한 소음성 난청- 기사 원본1) 사례 정리
2) 소음성 난청의 기전
3) 소음성 난청의 예방대책
4) 산업재해 인정 및 보상을 받기위해서 근로자가 취할 수 있는 방법
2. 광산업 종사자의 석탄먼지의 흡입으로 인한 진폐증- 기사 원본
1) 사례 정리
2) 진폐증의 기전
3) 진폐증의 예방대책
4) 산업재해 인정 및 보상을 받기위해서 근로자가 취할 수 있는 방법
3. 납과 카드뮴이 함유된 제품을 다룬 작업자의 중금속 중독- 기사 원본
1) 사례 정리
2) 중금속 중독의 기전
3) 중금속 중독의 예방대책
4) 산업재해 인정 및 보상을 받기위해서 근로자가 취할 수 있는 방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사례 정리 및 원인필터프레스 기계 세척 과정에서 발생하는 57.8-87.8dB의 소음을 2008년부터 10년 이상 겪었으며,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2011년부터 귀에 이상이 발생하였고, 2018년 12월 소음성 난청을 첫 진단 받았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산재보험법) 시행령의 별표 기준에서는 ‘85dB 이상의 연속음에 3년 이상 노출돼 한 귀의 청력 손실이 40dB 이상’인 경우 소음성 난청으로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근로복지공단에서는 대상자의 장해급여를 거절했다. 산업재해보상보험재심사위원회 재심사 청구도 기각되어 대상자는 2021년 소송을 내었고, 장해급여 부지급처분취소 소송에서 2023년에 원고 승소로 판결 받았다. 법원은 시행령 기준은 예시적 규정 불과하기 때문에 기준에 미치지 않아도 업무상 재해를 인정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2) 소음성 난청의 기전
● 와우세포의 병리소견
외유모세포는 와우 내에서 가장 취약한 세포로 소음에 가장 먼저 손상 받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음은 먼저 부동섬모의 골절과 뒤틀림을 유발함으로써 덮개막의 연결에 문제가 생겨 전달력을 떨어뜨리고, 세포역학신호변환에 문제가 유발된다.
소음은 감각세포뿐 아니라 지지세포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강력한 소음은 코르티기의 지주역할을 하고 있는 기둥세포들을 기저막에서 떨어져 나오게 하여 기저부가 첨부보다 200배 더 딱딱한 기저막의 임피던스 분포에 영향을 주어 소리에 대한 민감도와 주파수 분별력을 떨어뜨리게 된다. 유모세포의 결손은 소음노출 후 30일간 계속 지속되고, 외유모세포의 결손 부위는 수일 내로 기저부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세포괴사와 세포자멸사 두 가지 세포사멸의 병리형태를 모두 보이게 된다.
● 와우 혈류의 변화
음향외상과 같은 매우 큰 강도의 소음의 경우에는 혈관계의 작용이 일어나기 전에 심한 기계적 손상에 의해 세포가 대부분 사멸하게 되지만 오랜 기간 지속되는 소음 노출은 와우혈류량의 변화를 유발하고 이 변화가 세포의 사멸에 역할을 하게 된다.
참고 자료
홍준표, "영풍제련소 하청노동자 ‘소음성 난청’ 산재 인정", 매일노동뉴스, 2023.04.06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4400김동주, “진폐증 사망 탄광 근로자 위로금 지급 거부한 광해공단…행정소송 패소”, 메디컬투데이, 2022.11.08, https://mdtoday.co.kr/news/view/106*************
박철종, “[판결로 본 울산의 격동기]국내 첫 카드뮴 중독자로 인정, 요양불승인 취소 판결”, 경상일보, 2014.08.11,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3421
심현준, 「소음성 난청」,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을지병원 이비인후과, 2015, p. 85-89
이충은 외 3명, 「진폐증의 발생기전과 새로운 면역 치료제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1989
최선하 외 10명, 「지역사회간호학」, 신광출판사, 2021, p. 609-617
안전보건공단, 「소음성 난청 예방관리」, 안전보건공단 직업건강실, 2015, p. 34-46
안전보건공단, 「수은 취급근로자의 직업건강가이드라인」, 안전보건공단 직업건강실, 2017, p. 42-50
국립암센터, 「카드뮴과 그 화합물: 발암 요인 보고서」, 국립암센터, 2022, p. 7-12, p. 15-16
전남대학교 병원, “소음성난청”,
https://www.cnuh.com/health/disease.cs?act=view&infoId=554&searchKeyword=&searchCondition=&pageIndex=4
서울대학교 병원, “진폐증”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413
국가법령정보센터,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
https://www.law.go.kr/LSW/lsInfoP.do?efYd=20230112&lsiSeq=247123#0000
국가법령정보센터, “진폐의예방과진폐근로자의보호등에관한법률 시행규칙"
http://www.yeslaw.com/lims/front/page/fulltext.html?pAct=view&pPromulgationNo=139021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중금속 중독 예방”,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16
고용노동부 서울강남고용노동지철, “카드뮴 중독 예방”,
http://www.moel.go.kr/local/seoulgangnam/news/notice/noticeView.do;jsessionid=OkhxJOVj9DVSsdEYW1skSeqDGo1i16k1rVawwcGXY9yBQHKBpwERKX1f0wWXz5QP.moel_was_outside_servlet_wwwlocal?bbs_seq=1486627381154
유튜브, “소음성난청 산재신청하기(2부) 산재신청 방법 및 신청 후 처리절차”, 배연직 노무사
https://www.youtube.com/watch?v=siT9a91C6E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