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교수방법론_학습이론 중 조작적 조건형성에서 강조하는 강화와 처벌의 의미에 대해 기술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예를 찾아서 기술하세요.
- 최초 등록일
- 2023.08.03
- 최종 저작일
- 2023.03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조작적 조건화
2) 강화
3) 처벌
3. 결론
본문내용
3. 처벌
처벌은 특정반응이 반복되어 나타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람에게 그가 원하는 어떤 것을 빼앗아 가거나 또는 원하지 않는 어떤 것을 제공하여 그 반응을 약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처벌의 종류에는 정적처벌과 부적처벌이 있는데, 정적처벌은 반응 후에 협오적 자극이 제시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동생을 때리면 엄마가 회초리로 때는 경우가 해당된다. 한편, 부적 처벌은 반응 후에 매력적 자극이 제거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동생을 때리면 용돈을 제공하지 않거나 게임을 못하게 하는 경우가 해당된다.
한편, 소거의 개념인 타임아웃(time out)은 예를 들어 형이 동생을 때렸을 때 형이 좋아하는 장난감이나 컴퓨터가 있는 방에서 잠깐 방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일시적으로 타임아웃을 사용할 경우에 형이 동생을 때리는 행위가 감소되는 경우이다. 이에 부적강화와 벌의 차이는 벌은 어떤 자극의 제공에 의해서 그 행동의 빈도가 감소되거나 강도가 약화된 것을 가리키지만, 부적강화는 행동의 강도나 빈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이는 자극의 제공이 아닌 자극의 제거에 의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처벌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어떤 행동을 하려는 강력한 동기를 지고 있는데 다른 방법으로는 그 동기를 충족시킬 수 없을 경우에 시행하는 처벌을 비효과적이다. 즉, 처벌은 일시적으로 그 행동을 억압할 뿐 영구적으로 약화시키지는 못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처벌의 효과를 향상시키려면 일관성있게 처벌이 부여되어야 하며, 그 처벌의 대상이 행동한 사람이 아닌 행동 그 자체라는 점을 분명히 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 대신 다른 대안적 행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참고 자료
이신성 저, ‘행동주의 교육학에 대한 칸트주의적 비판’,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충청북도, 2020
이현경 저, ‘조작적 조건화에 따른 상징적 모델링 학습과정이 초기 성인기 친사회적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서울,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