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 실험 결과
A. 실험 A 결과
B. 실험 B 결과
C. 실험 C 결과
D. 실험 D 결과
E. 오차율 비교
V. 토의 및 결론
VI. 참고 문헌
본문내용
산과 염기는 실생활에서도 흔히 접할 수 있는 물질들이다, 그러나, 이를 정의하는 방식 은 굉장히 다양하다. 먼저, 가장 익숙한 정의인 아레니우스의 정의가 있다. 아레니우스는 ‘산’을 수용액에서 수소 이온(H)을 내놓는 물질로, ‘염기’를 수용액에서 수산화 이온 (OH)을 내놓는 물질로 정의했다. 이 정의는 직관적이며, 어떤 물질이 산이나 염기로 작 용할지 예측하기 쉽다. 그러나 산과 염기를 수용액 상에서만 정의할 수 있고, 산과 반응 하지만 OH를 가지고 있지 않은 암모니아(NH)등의 물질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브뢴스테드와 로우리는 산과 염기의 정의를 확장 했다. 이들의 정의에 따르면, 반응에서 양성자(H)를 제공하는 물질은 산, 양성자를 받는 물질은 염기이다. 이와 같은 산과 염기의 정의를 사용하면, 수용액 상태만이 아닌 기체끼 리의 반응 등에서도 산과 염기의 반응을 기술할 수 있다.
참고자료
· [네이버 지식백과]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 과학 탐구 영역, 산과 염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17723&cid=47337&categoryId=47337
·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중화반응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47834&cid=40942&categoryId=32256
· [WIKIPEDIA] Enthalpy of neutralization https://en.wikipedia.org/wiki/Enthalpy_of_neutralization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