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간, 담낭, 췌장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 최초 등록일
- 2023.07.19
- 최종 저작일
- 2022.05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간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① 구조
② 기능
Ⅱ. 담낭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① 구조
② 기능
Ⅲ. 췌장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① 구조
② 기능
본문내용
인체에서 가장 큰 샘인 간은 체중의 약 2.5%정도를 차지한다. 간의 무게는 약 1,300~1,800mg으로 오른위사분면(우상복부)에 위치하며, 횡격막(가로막) 바로 아래에 놓여 있다. 간의 윗부분은 폐에 맞닿아 있고 아랫부분은 위와 장의 지붕을 이룬다. 간은 횡격막과 배벽에 간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겸상인대에 의해 오른엽과 왼엽으로 구분된다. 두 엽은 차례로 뒤, 앞, 내측, 외측 구역의 상하부분으로 나뉘어진다. 간의 뒷면에는 대략 H자 모양의 작은 두 엽, 즉 윗부분의 꼬리엽과 아래의 네모엽을 이루고 있으며 이 두 엽의 경계가 되는 부분을 간문이라 부른다. 간의 기능 단위는 주세포인 간세포로 이루어진 간소엽이다. 간소엽의 간세포들은 중심 정맥 주의에 마차바퀴 같이 배열되어 있다. 다면체인 간세포의 한 면은 간의 모세혈관인 굴모양혈관(동양혈관)에 접해 있고 다른 한 면은 쓸개모세관(담세관)에 접해 있다. 문맥혈과 동맥혈은 굴모양혈관으로 들어가서 간소엽을 통과한다. 간소엽에서 간세포와 혈관 사이에서 물질 교환이 이루어진 후에 중심 정맥, 간정맥, 아래대정맥(하대정맥)으로 진행한다. 림프관은 노폐물을 배출한다. 담즙은 간세포에서 생성되어 담세관으로 배출되며 담관을 지나 담낭으로 이동한다. 내피세포와 쿠퍼세포는 동양혈관벽을 형성한다. 쿠퍼세포는 단핵성대식체계(망상내피계)의 중요한 부분으로 대식작용을 한다. 쿠퍼세포는 문맥에서 간으로 들어오는 혈액 속의 세균과 그 밖의 다른 탈락세포를 제거하는 여과기 작용을 한다.
<간의 혈관공급>
대부분의 신체 장기는 하나의 동맥에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고 이를 하나의 정맥으로 섭취하고 남은 혈액을 흘려보내는데 반해, 간은 이중으로 혈액의 공급을 받는 장기이다.
간에 유입되는 혈류의 75%는 간문맥을 통해, 25%는 간동맥을 통해 이루어진다. 간동맥은 심장을 통해 나온 산소가 풍부한 혈액으로 간에 산소를 주로 공급하고, 간문맥은 장에서 영양분을 흡수한 후..
<중 략>
참고 자료
알기쉬운 췌담도 해부학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학교실 동석호
성인간호학 수문사 윤은자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