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건강사정 정리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1장]
면담 (건강력 수집)
: 자료수집의 첫 단계로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 가장 중요함
-주관적 자료를 수집함
-환자에게는 최대한 개방형 질문을 하도록 함. (폐쇄형 질문의 예시로는 설문 조사)
-주의사항: 거짓된 안심이나 확신을 제공하는 것
건강력
1) 주호소(CC)
증상(symptom): 주관적인 감각
징후(sign): 객관적인 소견
2) 현재 병력(PI)
-주호소의 전후과정과 진정상황 및 부연 설명을 함으로써 주호소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얻음
-대상자의 증상에 대한 요약은 PQRSTU를 사용하여 순서대로 정리함
P: 유발이나 완화 요인
Q: 질이나 양
R: 부위나 방사
S: 심각성 척도사용 (0~10)
T: 발병시기나 지속기간
U: 문제에 대한 대상자의 이해
-신체계통별 검토는 신체기관에 따라 계통별로 시행됨
[2장]
신체검진 기법 (순서 중요!)
: 시진, 촉진, 타진, 청진
하지만, 복부사정 시에는 시진, 청진, 타진, 촉진
-타진과 촉진은 복부의 장음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어 청진을 먼저 시행함
1) 시진
: 시각을 사용한 검진 / 눈으로 보는 것뿐만 아니라 검안경이나 이경 등의 기구를 사용한 검진이 포함됨 / 옷과 침구를 걷는 것은 필수적이나 대상자의 기분과 안위를 생각하여 검사할 부위만을 노출시킴
2) 촉진
: 촉각을 사용한 검진 / 종류: 가벼운 촉진, 심부 촉진, 양손 촉진, 양손으로 내부 장기 확인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