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문헌고찰
<환자 입원 동기>
DM, CKD로 OO병원 추적 중인 분임. inpending ESRD로 투석 임박하였다고 이야기 들었다고 함. 내원 전일 밤 22:00 까지 평소와 같은 모습 확인하였다고 하여 내원 당일 아침 7시 경 따님이 확인하였을 때 침대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올라가지 못하겠다고 말씀하시며, Drowsy metality 보여 광명 성애병원 응급실 내원하심. BUN 137, Cr 7.46 으로 uremic symptom으로 추정. 응급 투석 필요하여 본원으로 전원 오심
진단명: Chronic kidney disese, Stage 5
주증상 : 의식 혼미, 투석필요
과거병력: DM, CKD
1. 사례선정동기
ESRD란 말기신부전(말기신장기능상실)으로, 신장기능이 15% 이하로 저하하여 투석요법이나 신장이식
이 필요한 단계의 신장질환을 말한다. 말기신부전은 주로 만성 신부전에 의해서 비롯된다. 만성신부
전의 원인으로 당뇨병, 고혈압, 만성 사구체신염, 다발성 신낭종 등의 원인으로 발생되고, 연령, 성별, 가족력의 위험인자가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만성신부전은 비가역적으로 진행되며 또한 또 신장은
정상 기능의 50%까지 감소하더라도 별다른 증상을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만성신부전 병태생리, 진단, 임상증상, 치료와 간호를 알고 이번 CASESTUDY를 통해 ESRD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질환에 대한 이해와 보다 임상에서 효율적인 간호중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 사례를 선정하게 되었다.
2. 신장
가. 구조
신장(kidney)은 한 쌍의 후복막장기(retroperitoneal organ)로서 제 12흉추에서 제 3요추에 걸쳐 척추 좌, 우에 위치하는 완두콩 모양의 장기이다. 우측 신장이 간 아래에 있어서 좌측 신장보다 약간 낮게 위치하고 있고 12번째 늑골의 수준에 있다. 각 신장의 위에는 부신(adrenal gland)이 있다. 각 신장의 무게는 115~175g정도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