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내용: 호흡곤란과 흉통의 증상이 있어 시행한 초음파상 이상 소견으로, 2022/10/19에
CAG(Rt. radial A) 시행하여 CAOD 3VD with LM disease 확인. 2022/10/21에
CABG(Coronary Artery Bypass Graft, LIMA to LAD, Aorta to OM, Aorta to PD) 시행.
간호계획
1. 대상자에게 흉통과 호흡곤란이 있는지 조사하고, 활력징후와 피부색을 4시간을 간격으로 사정한다. :대상자가 호흡곤란과 흉통을 호소하거나, 청색증, 부정맥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갑작스레 활력징후가 변하는 것은 심장조직 관류 감소의 증상이므로 위 사항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사정해야 한다.
2. 대상자의 체중과 I/O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부종이 있는지 관찰한다. :전신 혹은 하지에서 나타나는 부종, 소변량의 감소 등과 같은 증상들은 심장조직 관류 감소를 통한 심박출량의 저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3. 대상자의 EKG와 혈액 검사 수치를 주기적으로 관찰한다.
:CK-MB, CK, Troponin Ⅰ 수치가 상승한다는 것은 심장조직 관류 감소를 통한 심근 손상을 의미할 수 있고, 이때 EKG의 비정상적인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4. 대상자에게 5 RIGHT를 정확히 지키며, 처방된 심혈관계 약물을 투약하고, 약물에 따른 부작용과 효과를 관찰한다. : 처방에 따라 적절한 약물을 투약하는 것은 대상자의 심장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혈전생성을 예방하고, 정상범위 내에서 활력징후가 측정될 수 있도록 하여 심장조직 관류의 감소를 예방할 수 있다.
5.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질병의 재발 위험성, 자가 간호의 중요성과 방법을 교육한다. :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CAOD로 인해 심장조직 관류의 감소가 다시 나타날 수 있기에, 이에 대한 위험성을 인지하고, 자가 간호의 중요성을 인지하며 평상시에 올바른 자가 간호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실천하는 것은 대상자에게 중요한 일이다.
참고자료
· 2018. Herdman 외 1. 2018-2020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학지사메디컬
· 2015. 박지원 외 공역, 성인간호학2, 수문사
· 2019. Lewis 외 3.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