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료관련감염과 요로감염
2. 대학병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요로감염관리
3. 간호사의 역할과 과제
4. 참고문헌
본문내용
□ 의료관련감염이란 환자가 의료기관에 입원한 지 48시간 후, 혹은 퇴원 후 2주 이내, 또는 수술 후 30일 이내에 발생하는 감염으로 정의된다.
□ 주요 의료관련감염 원인균
-대장균, 황색포도알균, 녹농균, 아시네토박터, 엔테로박터 등이 있다.
□ 감염사슬 6단계 중 한단계 이상 끊어버리는 것이 중요함
□ 주요 의료관련감염
-요로감염, 폐렴, 수술부위감염 및 혈관장치 관련 혈류감염, 다제내성균
*요로감염은 전체 병원 감염의 35-40%를 차지하는데, 이는 의료비용의 낭비, 입원 기간의 연장, 도뇨관 장차기간의 연장, 만성요로감염으로 진행, 배뇨능력 손상, 환자의 불편감 증가 등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요로감염 예방을 위한 도뇨 환자의 감염관리 간호는 간호사의 중요한 역할이며, 특히 유치도뇨를 대부분이 삽입하고 있는 환자의 도뇨관 관리를 간호사의 필수적 간호 항목으로 보다 수준 높은 지식과 실천이 요구된다.
□ 요로감염 위험요인
-요로카테터 삽입기간, 삽입과정이나 유치 도뇨관의 관리
-방광경 검사나 비뇨기과적 수술과 관련된 기구의 사용
-도뇨관 유치
*주의사항 : 손은 의료인에게서 대상자로 미생물을 전파하는 주요한 매게체로 요로감염의 위험이 높아지므로 도뇨전 손위생과 장갑착용이 필요함
참고자료
· 이길호,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지(2007), 『대장균에 의한 요로감염과 숙주의 반응』
· 김윤미외 4인, 대한간호학회지 제42권 제5호(2012),『의료기관 간호사 확보수준이 수술환자의 사망,폐렴,패혈증,요로감염에 미치는 영향』
· 유문숙, 아주대학교(2008), 『중환자실 간호사의 유치도뇨관 삽입관련 환자의 요로감염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
· 강원도 속초의료원 공공의료본부 (요양병원 및 요양시설 종사자 대상) 요로감염관리 (2021) 유튜브동영상 참고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