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아동에 대한 사회복지대책과 개선사항
- 최초 등록일
- 2023.07.04
- 최종 저작일
- 2023.03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현재 우리나라 빈곤 아동을 위한 복지 서비스의 대표적인 것은 지역아동센터이다. 각 아동센터에서 학습지도 및 직업탐색 등의 활동을 통해 아이들의 역동성을 키우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해결보다는 보육수준의 정책에 그치고 있다. 빈곤아동의 현재 사례를 찾아 제시해보고, 시행되고 있는 사회복지대책과 정책에 비추어 개선사항이나 고쳐야 할 점이 있다면 자신의 의견을 서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사례관리에도 잇단 아동학
2. 실질적인 개입의 어려움
1) 비협조적인 부모로 인한 사례개입의 어려움
2) 상담사 1명 당 평균 41명, 최대 94명 관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빈곤 가정에서 태어나 자라나는 아동들의 경우 다른 취약 계층 아동들과 비교하였을 때 복합적이고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아직 미성숙하고 환경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는 아이들은 빈곤한 가정에서 나고 자람으로 인해 경제적, 정서적, 사회적 빈곤 뿐만 아니라 문화적, 교육적으로도 비빈곤 아동에 비하여 낮은 수준을 보이며, 불안정하고 다양한 스트레스가 예기되는 환경으로 인해 학대의 가능성 또한 높다.
우리나라에는 아동복지법을 기반으로 학대 받은 아동의 발견, 보호, 치료의뢰, 아동학대의 예방 및 방지를 위한 홍보, 아동학대행위자를 위한 상담·교육, 아동학대행위자, 아동학대행위자로 신고된 자 및 그 가정에 대한 조사, 기타 학대받은 아동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관한 전반의 업무를 맡은 ‘아동보호전문기관’을 운영 중에 있다.
참고 자료
이봉주, 김광혁, 가족빈곤과 가족구조가 아동학대와 방임에 미치는 영향, 아동권리연구 제 11권 제3호, 한국아동권리학회, 2007, p.4-5
권칠승 “경기 아동보호전문기관 학대 관리자 1명당 44명 맡아”, 경기일보, 2020.10.08.,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357
경상남도, [아동학대 예방의 날③]경상남도 아동보호 전문기관 목소리, 문화경남, https://blog.naver.com/gnfeel/222571951965, 2021.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