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힉및실험2 과목에서 '평형상수와 용해도곱의 상수 결정' 레포트입니다.
계산식이 위주인 실험인만큼 실험 결과 및 고찰을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기 위해서
제가 한 계산과정을 사진으로 찍어 보고서에 첨부하였습니다
공부하시는 대학생들의 학업에 큰 도움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화힉및실험2 과목에서 '평형상수와 용해도곱의 상수 결정' 레포트입니다.
계산식이 위주인 실험인만큼 실험 결과 및 고찰을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기 위해서
제가 한 계산과정을 사진으로 찍어 보고서에 첨부하였습니다
공부하시는 대학생들의 학업에 큰 도움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목차
1. Subject
2. Date
3. Section& Name
4.Object
5. Principle
6. Procedure
7.Reagent&Apparatus
8. Result & Discussion
9. Reference
본문내용
1. Subject 평형상수와 용해도곱 상수의 결정
2. Date 2022.11.16
3.Section & Name
4. Object
색깔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착이온의 농도를 알아내어 착이온 생성 반응의 평형 상수를 결정하고 Ca(OH)2 포화 용액에 공통이온 효과를 이용해서 용해도곱 상수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5.Principle
1)비어램버트 식
흡광공도법은 일반적으로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단색화장치(monochromter)나 필터를 이용해서 좁은 파장 범위의 빛만을 선택해서 액층을 통과시킨 다음에 광전관을 이용해서 흡광도를 측정해서 목적 성분의 농도를 정량하는 방법이다.
Lambert-Beer Law 는 흡광도는 빛이 지나가는 시료층의 두께와 빛이 지나가는 시료의 농도의 비례한다는 법칙이다. 아래 사진은 빛이 지나가는 경로에서 투과 전후의 빛의 세기 I0, It 와 시료의 농도 C 와 셀의 가로 길이 즉 빛이 투과하는 길이 L 을 나타낸 그림이다
램비어트-비어의 법칙은 대조액을 통과한 빛의 세기와 측정하려고 하는 액층을 통과한 빛의 세기에 대해서 똑같은 식이 성립하기 때문에 정량에 사용할 수 있다. 대조액층으로는 보통 용매 혹은 바탕 시험액을 사용하며 이것을 대조액이라고 부른다. 흡광도를 이용한 식으로 표시하면 A=Ecl 이 되기 때문에 농도를 알고 있는 표준액에 대해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흡광계수(입실론 E)를 구해놓으면 시료액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서 정량할 수가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E 를 구하는 대신에 농도가 다른 몇가지 표준액을 사용해서 시료액과 똑같은 방법으로 조작해서 얻은 검량선으로부터의 시료 중의 목적 성분을 정량하는 것이 보통의 방법이다.
참고자료
· (실험 원리 부분)
· Steven S,zumdal Sysan A Zumdal Donald J Decoste/Cengage Learning Kporea/2017
· 일반화학 실험 제 7개정판
· John McMurry/화학교재연구원/2017
· 네이버 지색백과/용해도(사진), 비색법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