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미국외교정책론 기말 레포트_제1,2차 북미 정상회담의 전개 과정과 결과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개념
2. 북미관계 개요
3. 북미회담
1) 제1차 북미정상회담
2) 제2차 북미정상회담
3) 교착 국면과 향후 경과
III. 결론
IV. 참고 문헌
본문내용
I. 서론
2018~2019년 1,2차에 걸친 미국과 북한의 정상회담은 한반도의 급격한 정세변동 속에서 성사되었다. 북한의 끊임없는 미사일 발사, 핵실험 강행으로 인해 남북관계의 전망은 어두웠으며, 한반도를 둘러싼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던 상황이었으나 이후 빠른 속도로 대화 국면으로의 이루어지며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이 연쇄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했다. 기존의 북미 관계는 특히 북한의 핵 미사일 문제가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며 더딘 발전을 이어왔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와 2018년 평창 올림픽 등의 이벤트를 계기로 북미 관계에도 새로운 지평이 열리게 되었고, 이것이 곧 싱가포르에서의 제1차 북미 정상회담, 그리고 뒤이어 베트남 하노이에서의 제2차 북미 정상회담으로 이어졌다. 제1차 정상회담에서는 평화와 번영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북미관계의 수립, 한반도에서의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 판문점 선언의 재확인과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향한 노력, 전쟁포로 및 행방불명자들의 유골 발굴과 발골된 유골의 송환 등의 내용이 담긴 북미공동성명이 합의되었으나 제2차 정상회담은 양국 간의 합의문조차 도출하지 못한 채 종료되고 말았다. 따라서 본 레포트를 통해 제1,2차 북미정상회담의 배경과 전개 과정, 그로 말미암은 결과 분석에 이르기까지의 전반을 살펴보고자 한다.
II. 본론
1.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개념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the Peace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란 분단 이후 70년 가까이 지속되어 온 남북간의 적대적 긴장과 전쟁위협을 없애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이루어내기 위한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정책으로서, 남북한이 새로운 경제 공동체로 번영을 이루며 공존하는 '신 한반도 체제'를 만들어나가도록 하는 일련의 노력과 과정을 통칭한다.
참고 자료
김승욱, 「北김면길 순회대사 북미 실무협상 결렬 성명"」, 『연합뉴스』, 2019년 10월 6일
신성원, 『북·미 간 비핵화 협상 추진 동향 및 전망』, IFANS 주요국제문제분석, 2018,38
유강문, 「미군 유해 송환한 북한,과연 ‘베트남의 길’ 반길까」, 『한겨레』, 2018년 8월 5일
윤희훈, 「北 해제 요구한 UN 제재 5건은..."핵ᄋ미사일 막는 핵심 제재"」, 『조선일보』, 2019년 3월 1일
정계성, 「문재인 대통령의 ‘베를린 구상’ 1주년… 냉소가 놀라움으로 변화」, 『시사위크』, 2018년 7월 6일
정한범. (2019).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의 한계와 성과. 세계지역연구논총, 37(1), 359-382.
정환보, 「폼페이오, 북한 초대형 방사포에 "이전에 발사한 것과 같은 로켓"」, 『경향신문』, 2019년 11월 3일
황준범, 「미국, 유엔 안보리 긴급 소집...‘북,레드라인 넘지 말라’ 압박」, 『한겨레』, 2019년 12월 10일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 정책뉴스 | 뉴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19년 2월 북미정상회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북미정상회담: 트럼프, 공개서한으로 취소 통보」 『BBC NEWS 코리아』, 2018년 5월 24일
「[BBC 라디오] 북미정상회담 공동합의문 내용」 『BBC NEWS 코리아』, 2018년 6월 13일
「북미 공동합의문: CVID 빠진 ‘완전한 비핵화’」 『BBC NEWS 코리아』, 2018년 6월 12일
https://blog.naver.com/rheebh2022/2226339630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