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고찰부터 시작해서 객관적 주관적 자료부터 ~ 간호계획 간호과정까지 빼곡하게 담고 있는 case입니다
교수님한테 꼼꼼하게 했다고 칭찬 받았던 case입니다
목차
Ⅰ.문헌고찰
1.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
2. 대상포진
Ⅱ. 상황 요약
Ⅲ. 검사결과
1. 일반적 사항
2. 건강력
3. 검사실 검사
4. 기타검사들(초음파, MRI, CT등)
Ⅳ. 간호진단
Ⅴ. 간호과정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
1) 정의 : 만성림프구백혈병은 성숙한 림프구가 과도하게 증식되는 골수 종양이다. 림프구의 종류에 따라 B세포성과 T세포성으로 구분된다. 만성림프구백혈병은 소아에게 발생하는 경우는 적고, 50대 이후의 중년 남성에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 질환의 발생률은 연간 10만 명당 1~3명 정도로,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에서는 림프구라고 불리는 백혈구가 성장하면서 종양으로 변하고, 그에 따라 골수 내에 과도하게 증식되어 정상적인 혈액 세포의 생산을 방해하게 된다. 그러면 정상 백혈구가 줄어들어 감염될 위험이 높아지고, 적혈구가 감소하면서 빈혈이 생기고 지혈작용을 하는 혈소판이 줄어들기 때문에 지혈되는 시간도 길어진다. 비정상 백혈구는 림프절, 간, 비장 등으로 퍼진다.
2) 증상: 만성림프구백혈병 세포는 골수, 림프절, 말초 혈액 속에서 증식한다. 이러한 세포의 증가로 인해 나타나는 직접적인 증상은 거의 없고, 대부분 무증상이다. 건강 검진 시 시행하는 혈액 검사에서 림프구 증가증(lymphocytosis)으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질병의 정도는 혈액 내의 적혈구 수, 또 간과 비장의 비대 정도에 비례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① 피로감, 피부 창백, 운동시 숨 가쁨 등 빈혈 증상.
② 겨드랑이, 목, 사타구니 등 림프절 비대에 따라 통증 없는 종창.
③ 간과 비장이 비대해지면서 복부 팽만.
④ 열이 나고, 밤에 땀을 많이 흘림.
⑤ 병이 진행됨에 따라 쉽게 멍이 들고 지혈도 잘 안 됨. 또한 면역성이 약해져 대상포진 같은 감염에 잘 걸림.
3) 진단: 먼저 골수를 검사한다. 골수 검사로 흉골과 장골에 가느다란 바늘을 넣어(골수천자) 골수액을 채취하고, 골수 속에서 증가하는 세포가 무엇인지 조사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