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피술(Skin Graft)
1. 정의
2. 특징
3. 피부이식의 적절한 시기
4. 식피술의 분류
5. 이용
6. 피부 이식의 생착을 위하여 갖추어야할 조건
7. 피부이식 후 생착을 저해하는 조건
8. 식피편의 두께 선택
9. 피부 이식편의 고정
10. 피부 이식 후 처치
11. 피부 이식편의 저장
12. 이식된 식피편의 특징
근피판(Mycutaneous Flap)
1. 근의 유형
2. 유경근피판
3. 유리근피판
4. 근피판의 장단점
5. 알맞은 근피판의 선택
6. 근피판의 부위별 적용
본문내용
1. 정의
․ 피부에 일차봉합으로 닫아 줄 수 있는 한계 이상의 결손이 있을 때 그만한 넓이의 피부 조각(식피편 : skin graft)을 다른곳(공여부 : donor site) 에서 채취해다가 필요로 하는 곳(recipient site) 에 이식해주는 것
․ 반흔으로 인해 운동의 제한이 있는 관절부위 및 얼굴이나 목의 흉터를 교정하기 위해 널리 적용하는 방법
․ 공여부에서 채취한 식피편은 표피와 진피층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
2. 특징
① 피부의 경축을 예방
② 회복기간을 단축시킴
③ 재활기에는 미용상 또는 기능상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됨
3. 피부이식의 적절한 시기
- 화상의 범위와 심도 및 환자의 상태에 의해 결정
일반적으로 화상 후 3~21일 사이에 시행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