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 자본주의 이행논쟁
- 최초 등록일
- 2004.05.09
- 최종 저작일
- 2004.05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서양사회경제사 시간에 A+받은 리포트입니다..
많은 자료를 참고한 알찬 자료이니 많은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봉건제에서 자본주의로의 이행에 관한 제 이행
1. 상업화 모델
2. 세계자본주의론
3. 인구론적 해석론
4. 마르크스주의 이론
Ⅲ. 자본주의 이행논쟁의 전개
1. 자본주의 이행논쟁의 역사
2. 봉건제의 해체와 자본주의의 발생
Ⅳ. 자본주의 이행논쟁의 고찰
1. 돕의 견해
2. 스위지의 견해
3. 브레너의 견해
Ⅴ. 자본주의 이행논쟁의 정리
1. 봉건제의 정의
2. 봉건제가 서유럽에서 발달한 원동력
3. 14∼16세기의 성격
4. 봉건제 해체의 원인
Ⅵ. 결론
본문내용
모리스 돕(Maurice Dobb)의 「자본주의 발전의 연구」의 출간을 계기로 봉건제로부터 자본주의에로의 이행에 대한 국제적인 논쟁이 '과학과 사회'(science and society)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이를 자본주의 이행논쟁이라 한다. 이 논쟁을 통해 봉건제의 해체와 자본주의의 발생을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경제사학의 기본적 문제들을 정리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행 논쟁의 주요 당사자는 스위지(P.M.Sweezy)와 돕(M.Dobb)이었다. 이들을 끝까지 갈라놓았던 것은 봉건제를 해체로 이끌어 간 원동력이 무엇인가 하는 점과, 자본주의 이행의 두 가지 길 문제 그리고 절대왕제의 성격 등에 관한 것이었다. 이 중에서도 봉건제의 해체에 관한 문제를 두고 특히 논란이 많았다. 장원을 단위로 하는 경제 조직이 어떤 이유와 인과관계로 인하여 붕괴되었는가 즉 인격적으로 예속된 농노가 어떤 과정을 통하여 인신적 예속으로부터 해방되었는가 하는 문제는 가장 논란이 많은 분야였다. 또한 자본주의를 발생시킨 원동력에 대한 평가와 15세기 이후 등장한 절대 왕제가 어떤 성격의 정치 체제였는가에 대해서도 많은 토론이 있었다. 즉 자본주의의 발생에서 상인자본과 독립 소생산자의 분해가 갖는 역할에 대한 평가와 절대 왕제의 본질적 성격이 봉건적이었는가 아니면 자본주의적이었는가 또는 과도적인 것이었는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참고 자료
1. 김대래 著, 《경제사》, 신지서원, 2001
2. 돕, 스위지, 타카하시 등, 《자본주의 이행논쟁》, 동녘, 1984
3. 브레너 로버트 외 지음, 《신자본주의 이행논쟁》, 한겨레, 1985
4. 모리스 돕 외 지음, 《자본주의 이행논쟁-봉건제로부터 자본주의로의 이행》, 광민출판사, 1980
5. 이영석 著, <모리스 돕의 '자본주의 발전연구'>, 《금호문화》, 1990년11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