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노로바이러스 장염 CASE STUDY(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5개)
수수수수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아동 노로바이러스 장염 CASE STUDY(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5개)"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Ⅱ. 문헌고찰
1. 정의 ----------------------------------- 1
2. 원인 및 병태생리 ----------------------------------- 1~2
3. 임상 양상 ----------------------------------- 2
4. 진단적 검사 ----------------------------------- 2
5. 치료 및 간호 ----------------------------------- 3
Ⅲ. 간호사례
1. 간호력 ---------------------------------- 4
2. 신체검진 ---------------------------------- 8
3. 진단적, 임상병리 검사 및 기타 자료 --------------------------------- 11
4. Medication --------------------------------- 20
5. 간호사정 결과 요약 --------------------------------- 22
6. 간호과정 적용 --------------------------------- 26
Ⅳ. 결론 및 소감 -------------------------- 32
Ⅴ. 참고문헌 -------------------------- 22
본문내용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노로바이러스는 5세 이하의 영유아 뿐만 아니라 성인에서도 감염되며, 전세계에 걸쳐 산발적으로 감염이 발생한다. 설사, 복통, 구토 등 위장관염 증세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case study를 통해 노로바이러스의 주된 원인 및 병태생리, 임상양상, 진단검사, 치료 및 간호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어떤 진단을 내릴 수 있는 지와 그에 맞는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해주기 위해 노로바이러스 사례 보고서를 작성하게 되었다.
Ⅱ. 문헌고찰
1. 정의
노로바이러스(Norovirus infection)
노로바이러스는 급성 위장관염을 유발하는 원인 바이러스로 비교적 최근에 알려진 신종병원체이며 최근 식품매개 집단식중독의 가장 주요한 원인체로서 보고되고 있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은 노로 바이러스에 의한 유행성 바이러스 위장염이다. 로타바이러스, 장 아데노바이러스 등과는 다르게 5세 이하의 영유아 뿐 아니라 성인에서도 감염되며, 전세계에 걸쳐 산발적으로 감염이 발생한다. 설사, 복통, 구토 등 위장관염 증세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원인 및 병태생리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에 의해서 감염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바이러스와 박테리아가 가장 흔한 원인이다. 바이러스 가운데에는 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파보바이러스가 대표적인 원인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으며 장염의 70%는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 주 원인이다. 박테리아 감염일 경우에는 대장균,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clostridium difficile), 살모넬라, 이질균 등에 의한 감염이 있으며 그 가운데 병원성 대장균 O-157:H7에 의한 감염이 가장 흔하다.
칼리시 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노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바이러스 입자는 크기가 27~40nm이고 정이십면체 모양이다. 60도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여도 감염성이 유지되고 일반 수돗물의 염소 농도에서도 불활성화되지 않을 정도로 저항성이 강하다. 감염자의 대변 또는 구토물에 의해서 음식이나 물이 노로 바이러스에 오염될 수 있고, 감염자가 접촉한 물건의 표면에서 바이러스가 발견될 수 있다.
참고 자료
「기본간호학 Ⅱ」, 양선희 외, 현문사 (2020)이수연 외(2019), 최신아동건강간호학(총론/각론), 수문사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대한민국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N 의학정보(노로바이러스).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