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재가복지서비스의 정책발전에 관한 연구
- 최초 등록일
- 2004.04.09
- 최종 저작일
- 2004.04
- 2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힘들게 했습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과 범위
Ⅱ. 재가복지서비스의 필요성
1. 가족과 친족집단의 복지기능변화
2. 지역해제에 따른 복지욕구변화
3. 질병구조와 건강관의 변화
4. 노년인구의 증가
Ⅲ. 재가복지서비스의개념·유형·내용
1. 재가복지서비스의 개념
2. 재가복지서비스욕구의 특징
3. 재가복지서어비스의 기능과 유형
4. 재가복지서비스의 종류와 내용
5. 재가복지서비스와 시설기능
Ⅳ. 우리나라 재가복지서비스의 현황
1. 재가노인봉사사업
2. 지역복지봉사센터
3. 소년.소녀가장세대보호와 가정위탁보호
4. 저소득모자가정 보호
5. 재가장애인서어비스
Ⅴ. 재가복지서비스의 과제
Ⅵ. 결론
본문내용
우리나라는 보건·의료의 발달과 식생활개선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전체 인구중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증가하고 사회경제발전에 따른 산업화·도시화로 핵가족화가 심화되어 전통적인 가족의 노인부양기능이 약화됨으로써 노인스스로나 가족만으로 노인문제를 해결하기가 어렵게 되어가고 있다. 복지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단독노인세대, 노부부만의 세대 등이 증가함으로써 시설복지위주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노인들이 원하는 바대로 노후생활을 그들의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보낼 수 있도록 재가노인에 대한 복지서비스에 많은 배려를 하여야 되겠다.이러한 재가봉사사업의 필요성은 ① 핵가족화에 따라 가족원수의 소수화, 여성취업 및 사회참여기회증대로 노인에 대한 보호나 부양기능이 크게 약화되어 있기 때문이며 노인이 질병이나 장애상태에서 가족원이 일시적 또는 지속적으로 돌볼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가족구성원이 사회복지대상자를 돌볼 수 있다하여도 계속적이고 과중한 보호업무의 부담으로 피로, 갈등, 스트레스등이 초래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즉 가족의 서비스기능이 약화되었을 때 가족구성원이 아닌 가정봉사원이 가족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보충하여 준다면 가족은 노인에 대한 보호나 부양기능을 유지할 수 있고 노인은 가족과 더불어 생활할 수 있을 것이다. ② 대부분의 노인이 친근한 이웃, 친구 및 지역사회내에서 살기를 원하고 이 안에서 사회적 및 정서적 유대를 유지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노인을 가족과 지역사회속에서 생활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가장봉사원이 일시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도움을 주게되면 시설입소를 방지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을 것이다.
참고 자료
ㅇ 공세권(외), [한국의 사망력과 사인원인], 한국인구보건연구원, 1996.
ㅇ 김범수, "재가노인복지와 데이케어센터", [노인복지연구], 홍익재, 1998.
ㅇ 보건사회부, '2001보건사회백서.
ㅇ 사회복지협의회, '2001년도 지역복지봉사센터운영사업자료
ㅇ 이정학, "한국지역복지정책의 현황과 과제", [지역복지정책], Vol. 5, 1996.
ㅇ 이정학, "지역복지", [사회복지중·초급반교재], 국립사회복지연수원, 1996.
ㅇ 한국노인복지회, [자원봉사자를 통한 가정봉사원파견서어비스 평가조사],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