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 무용사
- 최초 등록일
- 2004.04.07
- 최종 저작일
- 2004.04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I.서론
I-I. 무용의 정의
I-II. 정의 변천
I-III. 엄밀한 정의
II. 무용의 역사
II-I. 원시시대의 무용
II-I-I. 구석기 시대
II-I-II. 신석기 시대
II-II. 古代(고대)
II-II-I. 이집트의 무용
1. 종교 무용
2. 오락 무용
II-II-II. 그리스의 무용
1. 크레타의 무용
2. 고대 그리스 무용
II-III. 로마
II-III-I. 고대 로마시대의 무용
II-III-II. 로마 무용의 전성시대
II-III-III. 로마 제국시대
III. 中世(중세)
1. 예배의식에서의 무용
2. 연예인과 춤
3. 농민과 서민의 춤
4. 귀족의 춤
IV. 近代(근대) -
IV-I. 궁정 무용
IV-II. 교육으로서의 무용
IV-III. 농민무용
V. 現代(현대)
1. 사교춤의 유행
2. 흑인춤의 출현
3. 쉐이커 댄스
4. 레뷰와 뮤지컬
5. 발레의 시초
본문내용
2.연예인과 춤
중세 초부터 약 1400년까지 교회의 광장이나 시장에서 배우들이나 무희들에 의해 여러 가지 내용의 연극이 상연 되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성잔 순교자의 생활을 교사한 기적극과 선과 악, 미덕과 악덕의 싸움을 묘사한 도덕극이 있었다. 이극은 맹년 겨울 크리스마스를 전후하여 상연되었다. 이죽음과 부활에 관한 극은 모든 유럽에 알려지게 되었고 많은 무지한 농민들이 기독교에 귀의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와같은 배우들이나 무희들 이외에 방랑하는 연예인 무리가 있었다. 이들 연기자들은 가수, 무희, 시인, 음악가, 배우, 마술사등으로 구성되어있었으며 마을의 광장에서 공연을 하며 수많은 곳을 방황하였다.
참고 자료
김옥진, 무용 개론, 한양 대학교 출판부,1984.
송수남, 무용 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연사,1993.
송수남,배소심,김미자, 무용 원론, 형설 출판사,1991.
안제승,안병주, 무용학개론, 신원 문화사,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