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간호학에서 """"보호자""""와 의사소통 중 발생한 문제 사례와 치료적 의사소통을 적용한 내용을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목차
1. 의사소통 문제 상황 개요
2. 치료적 의사소통 적용
3. 참고문헌/참고자원
본문내용
1. 의사소통 문제 상황 개요
환자의 보호자인 A가 의료진 B에게 “질문을 해도 대답도 안 해주고, 내가 따로 말을 안 하니까 우리 아이에게 신경을 덜 쓰는 것 같다”라며 항의하였다. 또한 “어제 주사 부위를 다른 팔로 바꿨는데 왜 바꾸는지 얘기도 해주지 않았다”라며 불만을 표현하였다. 보호자 A는 평소에 환자 C(자녀)의 상태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았으나 의료진에 따라 응대가 달라져 답답해하는 것으로 보인다.
2. 치료적 의사소통 적용: □적합 ■부적합 및 개선
보호자는 RSV로 입원한 본인의 자녀가 최근 잦은 설사를 하며 노로 바이러스 양성인 것을 전달받아 많은 스트레스와 불안을 느낄 수 있는 상황이었다. 환자와 가족은 병원이라는 낯선 환경과 각종 처치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불안감을 갖게 되고, 아동의 상태와 질병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고 싶어 한다. 뿐만 아니라 아동의 부모는 입원생활에서 부모의 역할을 유지하고, 아동에 대한 의사결정과 실질적 돌봄에 참여하기를 원한다.
참고자료
· 이미형 외. (2019). 정신건강간호학 제6판. 서울: 현문사.
· 김희순 외. (2019).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아동청소년간호학 Ⅰ (pp. 262-272). 파주: 수문사
· 김진희, 이한나. (2021). 아동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이 간호사-환아부모 파트너십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지, 27(2): 134-142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