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기본간호) 핵심수기술 바탕으로 만든 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활력징후
문제
정답근거
1)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고자 할 때 적절한 호흡 측정 방법은?
① 맥박측정 직후에 손을 뗀 채 측정한다.
② 무의식환자는 흡인을 한 직후 측정한다.
③ 영유아의 경우 울음을 터트린 후 측정한다.
④ 주로 대상자의 어깨 움직임을 확인하여 측정한다.
⑤ 맥박 측정 부위에 간호사 손을 올려놓은 채로 측정한다.
대상자가 호흡을 의식적으로 조절하지 않도록 눈치 채지 못하게 호흡을 측정한다.
2) 혈압이 120/80mmHg로 측정되었다. 맥압은 몇 mmHg인가?
답) 40mmHg
맥압 = 수축기압 - 이완기압
3) 혈압의 정의로 적절한 것은?
① 폐동맥의 저항력
② 말초혈관의 저항력
③ 동맥벽에 대항하는 혈액의 압력
④ 체내를 순환하고 있는 혈액의 용적
⑤ 심장에서 박출하고 있는 혈액의 양
혈압은 동맥, 정맥, 심방과 심실을 순환하는 혈액에 의해 생기는 압력이다.
2. 경구투여
문제
정답근거
4) 연하곤란 확인 방법은 무엇인가?
답) 침을 삼키거나 물을 한 모금 마셔보도록 한다.
구강건조로 연하곤란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침을 삼켜보거나 물을 한 모금 마셔보도록 한다.
5) 노인의 경우 경구투여 하는 방법 중 적절한 것은?
① 한꺼번에 먹도록 한다.
② 하나씩 따로 복용하도록 한다.
③ 먹기 힘들면 부셔서 먹도록 한다.
④ 먹기 싫으면 먹지 않아도 된다고 한다.
⑤ 아침, 점심, 저녁 모아두었다가 한꺼번에 먹도록 한다.
노인의 구강 점막 탄력성 저하로 인한 구강건조는 연하곤란을 유발하므로 경구투약 시 흡인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하나씩 따로 복용하도록 한다.
6) 대상자 사정 중 대상자에게 경구투약에 금기사항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을 때 간호사가 해야 할 행동으로 옳은 것은?
① 그래도 약은 먹어야하니 먹도록 한다.
② 우선 섭취한 후 경과를 지켜본다.
③ 투약을 중단하고 처방한 의사에게 알린다.
④ 투약을 중단한다.
⑤ 섭취한 후 처방한 의사에게 알린다.
어떠한 위험한 일이 있을지 모르니 투약 중단 후 처방한 의사에게 알려야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