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목차
1. 서론 : 맞벌이 가족 현황 및 문제점
2. 맞벌이 가족을 위한 정책 제시
3. 결론 : 제언
4. 참고문헌
본문내용
21년 하반기 기준 배우자가 있는 가구(1천258만7천 가구) 가운데 맞벌이 가구는 582만 3천 가구로 1년 전보다 23만 가구 늘었다(연합뉴스, 2022,06,21). 전체 유배우 가구 가운데 맞벌이 가구 비중은 46.3%로 집계된 것이다. 연령별로 보면 맞벌이 가구 비중은 40대(55.1%)에서 가장 컸는데, 이는 관련 조사가 시작된 2011년 이래 최대치이며, 30대(53.3%)와 50∼64세(50.8%) 유배우 가구도 절반 이상이 맞벌이인 것으로 나타났다(연합뉴스, 2022,06,21). 교육 정도별로는 대졸 이상 맞벌이 가구가 305만 가구로 가장 많았고, 이외 고졸(206만1천 가구), 중졸 이하(71만2천 가구)의 순이었으며, 18세 미만 자녀를 둔 유배우 가구는 430만 9천 가구로 7만3천 가구 증가했다(연합뉴스, 2022,06,21).
참고자료
· 연합뉴스(2022,06,21), 1인 취업가구 최대폭 증가…10명 중 1명은 임금 100만원 미만
· 뉴시스(2021,11,10), 워킹맘·워킹대디 50% "가족돌봄 썼더니 직장 불이익“
· BBS NEWS(2022.08.31), 서울 맞벌이 부모 10명 중 3명 "출산휴가·육아휴직 못 썼다“
· 서울신문(2021,06,10), 맞벌이는 ‘처세권’… 육아천국 뒤에 왕복 3시간 출퇴근 지옥이 열렸다
· 한국경제(2023,02,07), [박성완 칼럼] 워킹맘의 '저출산'에 대한 생각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