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의 주요 아동복지와 관련된 아동 문제 사례 2편을 제시(신문기사 인용)한 후, 기사내용, 현 제도나 정책의 문제점,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작성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 어떤 인간에게도 행복하게 살 권리가 있고 좋은 환경에서 지낼 권리도 있다. 하지만 현재 한국 사회에서는 최소한의 권리도 누리지 못하고 힘겹게 살아가고 있는 아동이 너무나 쉽게 목격되고 있다. 오늘날 매스컴을 통해서도 이와 같은 상황을 자주 볼 수 있는데, 요×보호아동, 형편이 어려워 의무교육 조차 제대로 받지 못하는 아동 등 셀 수도 없이 많은 아동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 이로 인해 여러 가지 서비스와 프로그램들의 도입으로 그들을 도우려 했지만 아직까지도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여 제대로 된 지원조차 받지 못하고 있는 아동이 많은 실정이다. 즉, 도움이 필요한 아동 전체에 대해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했으며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의미를 제대로 실현시키지 못한 것과 같으며 이러한 아동의 문제는 점차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에는 한국 사회 내에서의 아동복지와 관계된 아동문제 사례 두 편을 신문기사를 통해 살펴 본 후 현재 한국의 정책이나 제도 면에서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개선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에 대해 작성해보려 한다.
참고자료
· 정희순(2017), “지역 중심의 아동복지서비스전달체계 및 영•유아복지서비스전달체계 연계방안 : 보육기관 운영자의 FGI 중심으로”
· 이미자(2013), “아동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 드림스타트 사업을 중심으로”
· 성효순(2016), “아동복지 정책의 변동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and Improvement of Child Welfare Policy:Focusing on Local Child Center”
· 이영환(2001), “우리나라 아동복지시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child in Korea”
· 오경자(2015), “아동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효과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Effectiveness of Child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 오승희(2006), “아동복지시설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신상문(1998), “우리나라 아동복지의 현실과 과제에 관한 연구”
· 한미현(2016), “아동복지”, 창지사
· 이순형(2013), “아동복지 이론과 실천”, 학지사
· 신재흡(2018), “사례중심의 아동권리와 복지”, 동문사
· 한미현(2016), “아동권리와 복지”, 창지사
· 배화옥(2010), “아동과 복지”, 신정
· 이진우(2018.06.29), “[사각지대 아동] 그룹홈 아동 늘어나는데 시설, 종사자 지원 ‘미흡’”, Baby Times
· 이진우(06.28), “[사각지대 아동] 한부모가족, 그룹홈 차별지원 없애자”, Baby Times
· 우제성(2018.05.02), “위기 아동, 복지사각지대 발굴에 앞장설게요”, 기호일보
· 홍성헌(2018.04.07), “또 복지사각… 두 모녀의 죽음 아무도 알지 못했다”, 국민일보
· 고승혁(2017.12.13), “’쥐 없고 따뜻한 물 나오는 데 살고 싶어요’ 소박한 소망”, 국민일보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