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영화재도약을위한전략적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1. 한국영화의 성장1) 한국영화의 재도약을 위한 전략적 방안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2. 한글의 우수성과 특징
1) 한글의 특유성과 우수성에 대해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3. 한국의 고령화 사회와 세계 비교
1) 고령화를 중심으로 한국과 일본 비교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4. 아동복지 한국과 세계 비교
1) OECD 국가 내 아동복지 예산 비교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한국영화산업의 급속한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K-영화의 힘이 전 세계적 고도화를 이루었음은 틀림없는 사실이나 최근 들어 전문가들 사이에서 한국영화산업의 성장세가 하락하고 있다는 의견들이 속출하고 있다. 이에 기인하여 아래에서는 한국영화의 성장전략 한계 이유와 함께 한국영화산업의 무궁한 발전과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해서는 어떤 전략적 방안이 필요할지에 대해 서술해보도록 하겠다.
I. 본론
2019년 영화 기생충이 한국영화 최초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이후, 대다수 전문가들은 OTT 및 온라인 플랫폼 기술 발전이 가파른 상승곡선을 탈 무렵부터 이미 문화산업은 한계에 봉착한 것과 다름없다고 입을 모았다. 실제로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한국영화의 개봉은 할리우드 개봉영화와의 경합으로 이어졌고, 그 치열한 경쟁 속에서 K-영화는 높은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기도 했는데, 이는 즉 한국영화산업이 비약적 성장과 양질의 발전을 이룬 핵심적 시기가 바로 2000년대 초반이라는 말과 비례한다고 하겠다.
참고 자료
『2009년 한국 영화산업 전망 분석』, 영상산업정책연구소/조사연구팀(2009.02.13.)『가치 사슬에 따른 디지털 영화산업의 분석』, 정보통신정책 제17권 21호 통권 382호, 권은경(2005.11.18.)
『디지털기술 발전에 따른 영화 부가시장의 다변화-디지털 온라인 시장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소, 박병윤(2014.10.03.)
『우리나라 영화산업의 침체원인과 정책과제』, e-kiet 산업경제정보, 산업연구원 최봉현 외 1명(2011.12.15.)
『한국영화계의 문제해결을 위한 정부 및 관련 기관 단체에 대한 산업 방향 개선 제안』, 하명중(2008.11)
『한국영화의 가치 사슬 고도화 및 복합수출산업화 방안』,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성영화(2005.06)
『한국영화산업의 문제 진단과 나갈 방향』, M&E산업연구소 소장 김도학
“영화산업의 성장과 경제력 집중”, 전문가 칼럼, 이태규(2008.05.02.)
“한국영화산업 발전계획 발표”
“한국영화 100년, 이대로는 미래 어둡다”, 이대희 기자, 프레시안(2019.11.01.)
“한국영화진흥위원회 홈페이지”, https://www.kofic.or.kr/kofic/business/main/main.do
“[교육칼럼] 한글의 우수성”, 인천일보, 기원서 전 송도중학교 교장(2019.10.09.)
“우리 말 한글의 우수성: 한글의 특징”, tistory(2008.10.09.),
https://prorok.tistory.com/305
“자질문자”, 위키백과 참조,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C%A7%88%EB%AC%B8%EC%9E%90
“자질문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글”, 위키백과 참조, 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A%B8%80
“한글, 24개국에서 제2외국어로 배운다”, 조선일보(2014.10.09.)
“알고 싶은 한글”, 국립국어원, https://www.korean.go.kr/hangeul/principle/002.html
“한글의 과학적 원리, 어디까지 알고 계신가요? - 김태희 대학생 기자”, 한글문화연대
“한글의 우수성”, 푸르넷에듀blog(2017.10.10.),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i_purunet&logNo=221114068192&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한글의 우수성”, http://sgti.kehc.org/hangul/7.htm
“[한글의 우수성] 민족 하나로 묶는 한글, 핵무기보다 강해”, 매일경제, 박윤진 구현고 교사(2009.10.07.)
“훈민정음 창제의 배경과 제작 원리”, 메타국어, 학습자료/국어문법(2016.10.03.), https://googeo.kr/entry/hunminjeongeum
“日韓比較(3):高齢化率 ―2060年における日韓の高齢化率は両国共に39.9%―”, https://www.nli-research.co.jp/report/detail/id=42585?site=nli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유형과 정책적 시사점』, 행정논총 제52권 제2호(2014.06): 229~256, 최선미 외 2명
『제2기 지역사회복지계획(2011~2014)』, 남해군지역사회복지협의체
『인구 고령화 심화에 따른 정책과제와 대응방안 모색을 위한 공청회』, 제3차 공청회 자료집(2016.09.01.), 저출산, 고령화 대책 특별위원회
『일본의 고령화 현황 및 고령사회 대책』,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17)
『한, 중, 일 인구구조의 변화와 저출산, 고령화 대응 정책 비교 분석』, 보건복지부, 이강호(2018.08), p67~p80
“[기획] 우리가 마주한 노인대국... 일본의 고령화 대책은?”, 데일리굿뉴스, 천보라(2019.05.10.)
“고령사회 진입한 한국... 일본보다 7년 빨라”, 한겨레, 방준호 기자(2018.08.27.)
“[노인의 날①] 대한민국 덮친 고령화... 일본보다 빨리 늙는다”, 뉴스핌, 김세혁 기자(2018.10.12.)
“일본이 24년 걸린 고령사회... 한국, 17년밖에 안 걸렸다”, 한국경제, 임도원 기자(2018.08.28.)
『2018 아동종합실태조사를 통해 본 아동 삶의 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귀우원 류정희(2018)
『보건복지포럼-OECD 국가간 아동복지 수준 비교와 한국사회에의 시사점-』, 배화옥(2007.06)
『OECD 국가 아동복지수준 비교-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미숙(2011.09.30.)
『OECD 국가와 한국의 아동보호 체계 비교연구』, 박세경 외 5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2005)
『아동가족복지지출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미숙(2013)
「사회복지개론」, 박상하 외 9명, 양서원(1987.11.24.), p175~p186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의 이해 –인간발달과 사회구조-」, 이효선, 공동체(2005.10.06.), 제2부 인간발달과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 공직을 위한 지침서 사회복지학총론」, 신재명, 청목(1996.12.10.), p211~p220
“유엔 한국 아동복지 예산 OECD 평균 미달... 확충해야”, 연합뉴스, 임은진 기자(2019.09.19.)
“한국 아동, 가족복지 공공지출 비중 OECD 35개국 중 31위(종합)”, 연합뉴스(2018.04.05.)
“한국 아동복지지출 수준 OECD 34개국 중 32위”, 연합뉴스, 서한기 기자(2013.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