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타바이러스 간호과정
- 최초 등록일
- 2023.05.02
- 최종 저작일
- 2023.04
- 2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서론 1
ⅰ) 선정이유 1
Ⅱ. 본론 1
A. 문헌고찰 1
ⅰ) 아동의 소화기계 1
ⅱ) 로타바이러스 2
1) 로타바이러스의 정의 2
2) 로타바이러스 장염 원인 3
3) 로타바이러스 장염 역학 3
4) 로타바이러스 장염 증상 4
5) 로타바이러스 장염 진단과 검사 4
6) 로타바이러스 장염 치료 및 간호 5
7) 로타바이러스 장염 예방 6
B. 간호과정 7
ⅰ) 간호사정 7
1) 환자 간호력 7
2) 요구사정 8
3) 신체사정 10
4) 진단검사 11
5) 투약 15
6) 간호진단 · 계획 · 수행 · 평가 16
Ⅲ. 출처 21
본문내용
Ⅰ. 서론
ⅰ) 선정이유
인류에게 설사질환은 이미 고대부터 알려져 왔다. 1973년에 비숍 등이 설사하는 소아의 장조직에서 전자현미경으로 바이러스 입자를 관찰하였고 이 바이러스는 바퀴를 닮은 모습으로 인해 이후 "로타바이러스"라 명명되었다고 한다. 매년 전세계 영유아 1억2,500만명이 감염되고 있는 로타바이러스는 영유아 중증 위장염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로타바이러스 장염에 대해 치료약은 없지만 다행히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백신이 2007년 2008년에 허가되어 예방접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1년도 질병관리본부의 조사에 따르면 로타바이러스는 급성 설사 질환 원인 바이러스 중 63%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또한 매년 55000~70000건의 입원을 야기하는 5세 이하 아동의 주요 설사의 원인이다. 성인과 다르게 아동의 경우 로타바이러스에 대하여 면역력이 약하여 질병에 잘 이환된다. 그래서 우리 조는 아동의 소화기계 질병 중 특히 자주 발생하는 로타바이러스에 대하여 케이스 스터디를 하기로 결정하였다.
Ⅱ. 본론
A. 문헌고찰
ⅰ) 아동의 소화기계
아동의 소화기계는 만삭으로 태어나도 미성숙하다. 대부분 소화과정은 생후 3개월 이전까지 기능 시작 하지 않는다. 간은 영아기 모든 위장계 중 가장 미성숙한 장기로 빌리루빈의 결합능력과 담즙 분비는 생후 2주 후부터 형성된다.
타액 소량 분비 그러나 연하반사의 조절이 미흡하여 침을 흘린다. 아밀라아제 효소(프티알린, ptyalin)는 소량 분비 되지만, 입 안에 음식이 머무는 시간이 짧아 효과 크지 않다. 아밀라아제(amylase: 복합 탄수화물의 소화에 필요한 췌장효소) 분비는 생후 4~6개월까지 부족하다. 위에서의 소화는 염산과 레닌의 활동으로 구성된다. 위는 점차 증가하는 음식부피에 적응하도록 점점 커진다. 레닌은 응유(curds: 우유를 반고형분자로 응고시키는 현상, 우유가 충분히 소화될 수 있도록 위에 오랫동안 머무르게 함)를 형성하는 카제인에 영향을 준다. 십이지장에서 췌장효소와 담즙이 나와서 단백질, 지방을 용해하여 소화시킨다. 지방합성효소 리파아제 부족으로 생후 4~5개월까지 지방흡수가 성인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참고 자료
김영혜 외 편역(2012), 아동간호학 총론, 서울: 현문사
김영혜 외 편역(2015), 아동간호학 각론, 서울: 현문사
홍경자 외(2003), 아동간호학 2권, 서울: 수문사
진은희, 김태경(2014), New 간호와 영양, 서울: 군자출판사
최정신(1997),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서울: 현문사
임상간호연구회, 최신임상 간호핸드북 (2014), 대광의학
서울대학교병원 (1995),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기초간호자연과학회·대한미생물학회(2012), 간호 미생물학(제2판), 서울: 엘스비어코리아
로타 바이러스 감염증 [rotaviral infectio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로타바이러스 [rotavirus]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박문각)
심정옥(2012). 소아 급성설사의 원인과 감별법. 대한의사협회지. 제55권 제6호(p516-524)
박민경, 박재옥, 김창휘(2006). 신생아와 영유아 로타바이러스 위장염의 임상 경과에 대한 비교.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제9권 제2호 통권 제17호(p153-161)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칼럼, 서울대학교병원
질병관리본부
네이버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