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전후파
2-1) 전후파의 구분
2-2) 전후파의 특징
2-3) 제 1 전후파, 제 2 전후파
3. 아베코보
참고문헌
본문내용
노대가의 부활을 우선으로 프롤레타리아 문학을 계승하며 민주주의 문학의 기치를 내세우던 신일본문학회가 결성되었다. 이후 전후 상황을 개개인의 전쟁 체험과 전향, 패전을 바탕에 둔 실체를 파악하고 그것을 끝까지 추궁하려고 한 잡지 근대문학〈긴다이분가쿠 近代文學〉 창간되었다.자연주의나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문학운동처럼 하나의 문학 이론으로 집약할 수 있는 단안적인 운동이 아닌 상호관계나 교류가 있더라도 각각의 방법과 형식으로 개성을 살리고 가능성을 시험케 하는 개방적이고 건강한 문학 상황을 양성한 것이었다.
1947년 7월 종합문화에 창간으로 긴다이분가쿠가 정치와 문학을 표방했다면 종합문화는 문학과 정치를 모토로 내세워 문학적 전위를 추구했으며 그 밖에 시사성이 강하고 전위적인 성격을 지닌 잡지 '세계'에서는 ‘전후문학의 방법을 찾아서’ ''아방가르드의 정신 ' 리얼리즘을 둘러싸고' 등을 통해서 전후문학의 문제와 그 가능성을 애기 하고 그 방향과 방법을 토론했다.
위의 (근대문학, 종합문학)으로 의해 그 거점을 잃은 전후문학은 1949,1950년 부터 장편 연재를 시작하여 그 개성을 본격적인 소설로 꽃피웠다.
참고자료
· 한국 발신의 일본 '전후문학' 연구 -다층성(多層性)과 단순성을 중심으로-한국연구재단 연구결과물 2006 서울
· 일본2차전후파 (戰後派) 시속의생 (生) 임용택2018
· 일본 전후문학과 노벨문학상 — 현실 부정과 아시아와의 연대를 중심으로 —곽형덕 2020
· 아베코보(安部公房) 문학의 신화적 상상력과 크레올성 박이진 2004
· 아베 코보의 『모래의 여자』론 - 도시의 상징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일본어문학회ㅡ2021
· 우스이 요시미, 2001, 고재석 옮김, 일본 다이쇼문학사, 동국대학교출판부.
· 이일숙, 2000, 시대별 일본문학사, 도서출판 계명.
·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
· 한국인을 위한 일본소설 개설 김순전.사희영.박경수 2015 제이엔씨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