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상황에서의 간호전문직으로서의 역할개발, 바람직한 간호사의 자세, 21세기 간호사의 역할 조사 및 의견제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코로나 19상황에서의 간호전문직으로서의 역할개발
2. 바람직한 간호사의 자세
3. 21세기 간호사의 역할 조사 및 의견제시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코로나 19상황에서의 간호전문직으로서의 역할개발
간호전문직으로서의 역할의 종류에는 병원간호사, 보건진료 전담 공무원, 보건교사, 산업간호사, 보험심사간호사, 가정전문간호사, 정신간호사, 노인전문간호사, 간호장교, 조산사, 방문간호사, 공공기관 총 13개의 종류가 있다. 코로나 19와 같은 재난성질환에 대비한 간호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에 대한 간호연구개발이 필요하다. 지역사회 기반의 방역과 건강관리를 위한 ICT 기반의 다양한 효율적 가정방문간호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며, 보건소/진료소, 학교와 산업 간호 등 지역사회 일차 간호서비스, 그리고 병원과 지역사회 일차간호서비스 간 효율적 연계 방안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참고자료
· 김지미, 고정은, 김혜영, 오승은(2017). 간호학개론. :계축문화사
· 이자형(2000). 21세기 신생아 전문 간호사의 역할과 전망.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윤병기(2020). 숙련된 간호사 확보해야 감염병 막는다. Retrieved from
· http://www.whosaeng.com/119100
· 김현주 외(2008). 호스피스 병동 간호사의 역할 변화 경험. 한국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지
· 이혜진(2017). [병원을 지키는 사람들] 호스피스병동 간호사 Retrieved from
· https://news.imaeil.com/LifeAll/2017053100175212615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