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보건교육 프로그램 보고서 / 알고 지키는 성문화 / 피임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 대상자 및 프로그램의 선정 배경
2) 기대효과
2. 목적 및 목표
1) 프로그램의 목적
2) 목표
3. 자원 및 장애요소
1) 자원
2) 장애요소
4. 방법 및 활동
5. 보건교육안
본문내용
1. 대상자 및 프로그램의 선정 배경
▶대상자
◾20대 이상 성인남녀(대구과학대학교 재학생)
▶사회적 배경
◾서구 성개방 풍조 유입, 성의 도구화, 대중매체(TV, 인터넷, 비디오, 성관련 잡지 등)에서 노골화된 성적 표현, 상품화로 인한 저속한 성문화의 범람과 향락산업의 번성으로 인터넷을 통한 성 관련 사이트 급증(그에대한 접근제한X)
→ 성에 대한 왜곡된 정보를 얻게 되어 성에 대한 가치관의 혼란을 초래하는 등 성의식과 성인식에도 큰 변화
◾대가족 → 핵가족 → 여성의 사회참여로 인한 가정 형태 변화 → 성태도와 성역할에 대한 가치관 변화 → 성병, 미혼모 증가, 인공 유산과 폭력 증가 등 →사회 전반에서 예방적, 치료적 차원의 다각적 성교육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임
▶뉴스 및 설문조사
1.【서울=뉴시스】성인남녀 10명중 5명 '피임안했다' 이유는?…
대상 : 한국여성민우회 성폭력상담소 20대 남녀 9566명
*피임을 하지 않거나 못하고 성관계를 한 경우
◾갑작스레 성관계를 하게 돼서 47.1%
◾성적 쾌감이 떨어져서 21.6%
◾성관계 전 임신 가능성을 걱정 61%
2.【헬스뉴스(조선)】한국 성인남녀 피임상식은?
대상: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 711명
◾일반적인 9가지 피임상식을 질문한 결과 : 평균 40.7점
참고자료
· 지역사회간호학1(2014). 최연희, 이지현 외 수문사
· 피임·생리에 관한 팜플렛: 대한산부인과의사회
· 유투브 https://www.youtube.com/watch?v=kGGxCmfNBZ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