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존산소 측정 실험의 목적은 DO(Dissolved Oxygen)과 BOD(Biochemical Oxygen Demand)에 대해 이해하고 이와 수질과의 관계를 실험을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수돗물을 Winkler-Azide 변법을 통해 DO를 계산하고 이를 DO meter를 통해 측정한 DO 값과 비교함으로써 실험의 정확성을 알아볼 수 있다.
전체적인 실험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돗물을 담은 BOD병에 와 용액을 넣어 침전물을 형성시켜준 후, 침전물이 가라앉아 상등액이 투명해지면 황산을 주입시켜준다. (후드 내부에서 진행)
침전물이 완전히 용해되면 용액을 일부 추출해 플라스크에 옮겨 담은 후 전분 용액을 넣어 아이오딘과 반응 시킨다. 아후 티오황산나트륨 표준 용액을 용액이 맑아질 때까지 적정, 그 양을 기록한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DO값을 용존산소량 계산식을 이용해 계산, 실제 DO meter와 측정한 값과 비교함으로써 실험을 마무리하게 된다.
실험결과와 측정값을 비교해 보았을 때 약 30%정도의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참고자료
· 2020년도 1학기 화공기초이론 및 실험 1 실험노트
· ‘수질오염개론’, 창목출판사, 전상복, 2017, p. 119 ~124
· ‘용존산소 측정 예비레포트’
· ‘수질 분석 및 실험’, 신광문화사, 김형석, p. 88 ~ 92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