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산의 근대 주거란?
2. 부산의 주거 현재
3. 부산에만 해당?
4. 해결방안? 재개발?
5. 부산의 근대 산업(공업)단지
6. 부산의 근대 산업의 변화
7. 부산의 대표 근대 산업 [신발]
8. 부산 근대 산업단지의 현재
9. 도시의 구성 요소 [도시와 산업]
10. 도시 - 기업 [산업 - 브랜드]
11. 세계의 산업 도시
12. 한국의 제2의 도시 부산?
13. 한국의 도시 – 산업?
14. 부산의 산업단지 [과거와 오늘]
본문내용
부산의 근대 산업의 변화
▶ 부산의 공업도시로서의 두각 → 1950년대 6.25전쟁시 부산 피해없음. 인구유입 등 꾸준한 업체의 증가
▶ 1960년대 초기 섬유공업 : 면.견.마 등 천염섬유와 인견 등 반인조 섬유 소재 생산의 내수 위주 산업
▶ 1960년대 후기 섬유공업 : 합성섬유을 소재로 하는 보세가공형식의 봉재의류 생산 중심 수출 위주 산업
▶ 1970년대 산업구조 변동에 따른 화학공업부문의 형성 및 발전 → 신발 산업(고무)이 선도
▶ 1980년대 원자재 및 제품 시장의 해외의존성과 경공업 위주의 구조 취약성으로 공업성장 둔화
▶ 1980년대 이후 노동집약적 경공업은 산업구조 변동에 따라 정체됨
▶ 1980년대 중반부터 산업 고도화[자동차, 조선]에 발맞춘 산업단지 조성 추진 [신평.장림, 녹산, 신호]
▶ 1990년대 중반부터 르노삼성 유치 등 경공업 중심에서→ 기계.장비업종의 중화학공업으로 전환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