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선천심장질환
심방사이막결손(ASD): 심방사이막이 막히지 않은 것. 생후 막혀야 할 타원 구멍이 열리 있는 열린타원구멍
심실사이막결손(VSD): 심실사이막의 결손부를 통해 왼심실에서 오른심실로 혈액 이동. 가장 흔한 선천심장기형
방실사이막결손(AVSD): 다운증후군 환자의 30%에서 관찰
허파동맥판막협착(PS): 허파동맥관 혹은 그 직전의 오른심실 유출로가 협착된 상태. 오른심장비대와 함께 심장기능 상실 유발.
팔로사징후(TF): 심실사이막결손, 대동맥오른위치, 허파동맥판막협착, 오른심실비대 등 4가지 잇아이 병존하는 증후군
동맥관열림증(PDA): 동맥관은 태어난 후에 곧 막히지만 생후에도 막히지 않고 열린 채 있는 것
대동맥협착증(AS): 심장의 대동맥관의 막이 잘록하게 좁아진 기형. 협착이 동맥관에서 멀리 있으면 성인형, 가까이 있으면(유아형)으로 분류
3. 협심증
관상동맥(coronary artery)일부분이 좁아진 상태, 관상동맥경화가 대부분 원인, 가슴통증
안정형 협심증: rest한 상태에서 subside
불안정 협심증: rest한 상태에서도 pain
이형성 협심증: 주로 새벽이나 아침에 발생, 심장혈관의 경련이 원인
4. 심근경색증의 위험 요인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흡연, 스트레스
5. 심근경색 발생 부위
왼심실앞벽경색(LCA): 발생빈도 40~50%, 왼심실앞벽, 심장꼭대기, 심실사이막 전방 약 2/3의 심장근육조직에 괴사
왼심실뒤벽경색(RCA): 발생빈도 30~40%, 왼심실뒤벽, 심실사이막 후방 약 1/3에 괴사 발생
왼심실가쪽벽경색(LCA): 왼심실의 가쪽벽에 괴사 발생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