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농지개혁에 관한 발표자료입니다..준비 열심히 했고 교수님께서 칭찬해 주셨어요^^
목차
Ⅰ. 머리말
Ⅱ. 농지개혁의 실시 배경
Ⅲ. 토지개혁을 둘러싼 각 정치세력의 입장
1. 좌익세력 : 무상몰수 무상분배 주장
2. 한민당의 토지 정책 : 유상몰수 유상분배 주장
3. 미군정의 토지 정책 : 귀속농지 분배
Ⅳ. 농지개혁법의 내용과 시행과정
1. 농지개혁법의 내용
2. 농지개혁법의 문제점
3. 농지개혁법의 시행과정
Ⅴ. 농지개혁의 결과와 평가
1. 농민층의 변모
2. 농지개혁의 평가
Ⅵ. 맺음말
본문내용
Ⅰ. 머리말
해방 후 미군정기와 50년대를 거치는 과정에서 한국사회의 변화, 한국자본주의의 전개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농지개혁과 귀속재산처리 및 한국전쟁이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식민지적이고 반봉건적인 경제구조를 자본주의 발전에 적합한 구조로 변화시켰다. 그것은 공업부문에서 종속적 독점자본을, 농업부문에서 현재의 자작농적 토지소유하의 영세소농 경영체제를 창출한 역사적 원점이었고, 동시에 자본가계급의 급속한 형성과 노동자계급의 정치적 권리 약화를 가져왔다.
8 ․ 15직후 전 국민의 77%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었으므로 토지문제의 합리적 해결은 해방 후 한국사회가 짊어진 최대의 과제였다. 따라서 각 정치세력간의 대립과 정권수립을 둘러싼 각축도 결국은 토지문제 해결에 대한 대책을 둘러싼 이익을 가장 중요한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여기서는 1950년에 실시된 농지개혁은 어떠한 내용의 것이고, 한국농업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우리 사회의 급격한 변동, 즉 자본주의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알아본다.
참고 자료
장상환, 〈농지개혁〉, <<한국사>> 18, 한길사, 1994년
장상환, 〈농지개혁을 둘러싼 쟁점은 무엇인가〉, <<爭點 한국近現代史>> 제3호, 서울 한국근대사연구, 1993년
장상환, < 농지개혁과 한국자본주의 발전 >, <<爭點 한국近現代史>> 제3호, 서울 한국근대사연구소, 1993년
박석두, 〈대한민국의 수립과 농지개혁〉,<<爭點 한국近現代史>> 제3호, 서울 한국근대사연구소, 1993년
정진상, 〈한국전쟁과 전근대적 계급관계의 해체〉, <<한국전쟁과 한국자본주의>>, 서울 경상대 사회과학연구소, 2000년
윤덕영,<해방 후 좌익 진영의 農地改革論>, 金容燮 敎授停年紀念 韓國史學論叢刊行委員會 지음, <<韓國史 認識과 歷史理論 >>, 지식사업사, 1997년
강정구, <분단과 전쟁의 한국현대사> ,역사비평사, 1996년
권병탁, <농지개혁의 긍정적 의의>,<<근현대사 강좌>> 제3호, 한국현대사연구회, 1993년
박진도, <농지개혁의 역사적 한계>,<<근현대사 강좌>> 제3호, 한국현대사연구회, 1993년
김성호 외 , <<농지개혁사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9년
배인철, <1950년대 경제정책과 자본축적>, <<한국사>>18, 한길사, 199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