Ⅴ. Nursing Process ----------------------------------------------------------------10
문제 목록
#1. 자궁수축과 개대(분만 1기)와 관련된 급성통증
#2. 분만 시 방광 압박으로 인한 방광 민감도 및 기능 저하와 관련된 배뇨 장애
#3. 조기 양막 파열로 인한 신생아 건강상태와 관련된 불안
Ⅵ. 교육 자료 -----------------------------------------------------------------------18
Ⅶ. 사정 자료 -----------------------------------------------------------------------19
1) 분만의 5요소
(1) 태아: 태아 머리는 2개의 두정골, 2개의 측두골, 1개의 전두골, 1개의 후두골로 구성되어 있다. 태위는 모체의 장축(척추)과 태아의 장축과의 상호관계이다. 종위와 횡위로 구별된다. 태세는 신체의 각 부분, 즉 머리·몸통·사지의 상호관계를 말한다. 완전굴곡, 불완전굴곡, 불완전신전, 완전신전 등으로 나뉜다. 선진부는 골반 입구에 먼저 들어간 태아의 신체 부분을 말하며 두부, 둔부, 어깨 등이 있다. 태향은 태아의 선진부와 모체 골반의 전후 좌우면과의 관계를 의미한다. 두정위의 준거지표는 후두골(O), 안면위는 턱(M), 둔위는 천골(S), 견갑위는 견갑골(Sc)이다.
(2) 산도: 단단한 골반의 뼈 부분과 경부, 골반저, 질, 질구 등의 연한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골반 입구는 가골반과 진골반의 분계선이며, 좌우가 넓고 앞뒤는 좁다.
(3) 만출력: 만출력의 요소는 일차적으로 분만 1기에 작용하는 불수의적인 자궁수축이 있으며, 이것은 분만 시작의 신호가 된다. 경관이 개대되면 이차적으로 분만 2기에 자궁수축과 함꼐 수의적으로 내려미는 힘을 포함한 복부 근육의 긴장과 횡격막의 수축 등이 있으며, 이것은 불수의적인 힘을 증가시킨다.
(4) 산부의 자세: 산부가 일어서거나, 걷거나, 앉거나, 쭈그리기 등의 선 자세는 중력에 의해서 아두의 하강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산부의 하대정맥이나 하대동맥을 누르지 않게 되므로 산부의 혈액순환에도 도움이 되어 장기 곳곳에 흐르는 혈액의 공급과 태반으로 가는 혈액의 양도 증가시켜 태아의 상태가 좋아지게 한다.
(5) 산모의 심리적 반응: 산부의 분만에 대한 이해와 준비 정도는 분만의 전체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분만을 미리 준비한 산부들은 분만 경험을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이러한 확신감은 분만 통증에 긍정적으로 대처하게 한다.
2) 분만의 전구증상
하강감이란 태아의 머리가 골반강 내로 들어가게 됨으로써 복부 팽만과 횡격막 압박이 경감되는 감각을 의미한다. 초산부의 경우 분만 2~4주 전에 시작되며, 경산부는 분만 때까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