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간호학실습] 경막하출혈케이스 A+
fmoserg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노인간호학실습] 경막하출혈케이스 A+A+ 맞은 케이스스터디입니다!
간호과정 2개
1. 뇌손상과 관련된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의 위험
2. 신경, 운동 기능 손상과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목차
I. 서론 - 연구사례선정 이유II. 본론
A. 입원기록지
B. 문헌고찰
1. 질환의 정의 및 원인
2. 질환의 병태생리
3. 진단방법
4. 증상
5. 치료 및 간호
C. 사례환자 객관적 자료
1. 진단검사 및 치료효과 확인을 위한 검사
2. 의사의 치료내용
1) 주 치료 약물 5개 이상
2) 사례환자의 다른 처치
D.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주관적 사정
2) 객관적 사정자료 수집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4. 간호수행
5. 간호평가
III. 느낀점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질환의 정의 및 원인경막은 뇌척수막의 가장 두꺼운 부분으로 바깥층에 위치하고 있다. 뇌를 싸고 있는 경막은 하나의 층으로 기능하지만, 뇌의 여러 구역에서는 경막의 정맥굴과 경막주름을 형성하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막의 주름은 뇌염, 소뇌겸, 소뇌천막, 안격막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주름들은 뇌를 머리뼈에 고정시키고 뇌의 특정 부분을 나누고 있다. 경막의 정맥굴은 뇌의 작은 혈관으로부터 헐액을 모으고, 머리뼈 밖으로 나가는 내경정맥으로 흘러 들어간다.
경막은 머리뼈 안에서 머리뼈와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반면, 척추관 사이에는 경막과 척주 사이에 경막외강이 형성되어 있다. 경막하강은 경막과 지주막 사이의 공간으로 아주 적은 양의 장액이 있는 잠재적인 공간이다. 경막하출혈(SDH, subdural hematoma)은 경막과 지주막하 공간에 혈액이 고인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정지된 물체에 머리를 부딪쳤을 때 발생한다. 이러한 손상은 머리를 바닥 또는 단단한 물체에 부딪히는 형태의 낙상에서 흔히 관찰된다. 대부분 시상정맥동이 파열되어 나타나며 정맥혈이기 때문에 느리게 형성된 혈종이다. 그러나 혈종은 뇌표면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혈종이 커지면 결국 뇌조직을 이동시킨다.
원인으로는 노인의 경우 낙상에 의하여 주로 발생하며 젊은이들에서는 교통사고와 폭행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영유아에서는 아동학대에 의한 폭행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머리에 대한 직접적인 충격과 함께 가속력에 의하여 회전 모멘텀(회전운동량)이 발생하는 경우, 뇌와 경막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 혈관이 파열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심혈관계 질환이나 뇌혈관 질환 때문에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경우 발생 빈도가 높고, 장기간 다량의 음주를 하는 경우 위험도가 증가한다.
2. 질환의 병태생리
①급성 경막하 혈종
정지된 상태에 있는 두부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선상 또는 회전성의 가속성 손상을 받거나 또는 정지된 물체에 머리를 부딪쳐서 감속성 손상을 받으면 경막에서 뇌표면이나 정맥동으로 연결되는 교정맥이 과열되며, 회전성 손상을 받을 경우 교정맥이 쉽게 손상된다.
참고 자료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박은영 외, 현문사 (2017)『성인간호학 (상)』 황옥남 외, 현문사 (2018)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서울대학교 출판 문화원 (2014)
NANDA 간호진단 2018-2020, 네이버, https://blog.naver.com/snow_cm/221518671252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급성 경막하 출혈,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712&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만성 경막하 출혈,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720&cid=51007&categoryId=51007
경막하출혈 이미지,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cdc.go.kr/health/Resource/Module/Content/Printok.do?idx=1920&subIdx=4